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2015 연예결산] 2015 가요, 10개 키워드로 정리한 다사다난했던 가요계의 1년

기사입력 : 2015년12월25일 08:00

최종수정 : 2015년12월24일 17:05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뉴스핌=이지은 기자] 2015년 가요계가 다이내믹하게 마무리됐다. 음원 역주행부터 걸그룹 대전, 무한도전 가요제, 아이돌 그룹 탈퇴, 음원 사재기, 표절, 거물급 아티스트의 컴백, 시즌송 발매 등 다양한 이슈와 사건사고들이 끊임없이 터진 한해였다. 다사다난했던 1년간 가요계에서 벌어진 빅이슈를 10개의 키워드로 정리해봤다.

◆음원 차트 역주행…EXID ‘위아래’, MBC ‘무한도전-토토가’
올해 초 가요 음원차트에 ‘역주행’이라는 표현이 유행했다. EXID의 ‘위아래’는 2014년 8월에 발매됐지만 올해 1월부터 엄청난 기세를 올렸다. 이 곡은 올해 1월4일부터 10일까지, 그러니까 2015년 3주차 디지털 종합 가온차트 기준(스트리밍·다운로드 합산치)으로 3위를 기록했다.

MBC ‘무한도전’의 ‘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토토가)’의 반응도 뜨거웠다. 김건모의 ‘잘못된 만남’, 엄정화 ‘포이즌(Poison)’, 지누션 ‘전화번호’가 10위권 내(3주차 디지털 차트)에 안착하면서 역주행 열풍을 이어갔다.

2015년 가요계 상반기를 주름잡은 EXID '위아래', MBC '무한도전-토토가', 빅뱅의 'MADE' 시리즈 앨범(사진 위부터) <사진=EXID '위아래' 뮤직비디오·MBC·빅뱅 'MADE' 앨범 커버>

◆음원 강자…빅뱅 ‘MADE’ 시리즈
3년 만에 완전체로 뭉친 빅뱅의 ‘메이드(Made)’ 시리즈는 무려 5월부터 8월까지 월간 디지털 종합 차트 1위를 차지하면서 '음원 강자'의 저력을 과시했다. 5월에 발매한 첫 번째 시리즈인 ‘M’ 앨범의 ‘루저(LOSER)’와 ‘베베(BAE BAE)’가 사이좋게 1, 2위를 나눠가졌다.

6월에는 두 번째 시리즈 ‘A’ 앨범의 ‘뱅뱅뱅(BANG BANG BANG)’이 1위를, 7월에는 ‘D’ 앨범의 ‘이프 유(IF YOU)’가 1위를 차지했다. 마지막 시리즈인 ‘E’ 앨범의 ‘우리 사랑하지 말아요’는 1위, GD&T.O.P의 ‘쩔어’는 4위를 차지했다.

◆치열했던 걸그룹 대전…씨스타‧AOA‧소녀시대‧걸스데이‧에이핑크‧원더걸스
올해에는 역주행 열풍만큼 뜨거웠던 것이 바로 걸그룹 대전이다. 6월 대전의 포문을 연 마마무를 시작으로 씨스타와 AOA, 소녀시대, 걸스데이, 에이핑크, 원더걸스가 대거 컴백했다.

같은 날(6월22일) 음원을 발매한 AOA와 씨스타는 서로 1, 2위를 다투며 음원경쟁을 펼쳤다. 컴백 주인 27주차 디지털 차트에서는 씨스타가 1위를 차지했다. 마마무는 선배 걸그룹의 컴백에도 불구하고 3위에 이름을 올리면서 신인의 패기를 보여줬다.

1차 대전이 끝난 후 2차에서는 소녀시대가 ‘파티(PARTY)’로, 걸스데이가 ‘링마벨(Ring My Bell)’로 같은 날(7월7일) 컴백했다. 소녀시대는 걸스데이를 제치고 29주차 1위를 기록했다. 뒤이어 16일에는 에이핑크가 정규 2집 ‘핑크 메모리(Pink Memory)’로 컴백했다. 에이핑크는 소녀시대를 4위로 밀어내고 30주차 2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음악 순위 프로그램에서는 소녀시대가 막강한 힘을 발휘하면서 1위를 차지했다.

걸그룹 대전의 마지막인 8월을 장식한 건 바로 3년2개월 만에 팀을 재편성하고 컴백한 원더걸스다. 리더 선예의 탈퇴, 선미의 재합류, 그리고 댄스가 아닌 밴드로 콘셉트를 바꾼 원더걸스는 당시 빅뱅의 ‘E’ 시리즈 앨범에 밀려 걸그룹 대전에서는 다소 낮은 성적(33주차 3위, 34주차 4위, 35주차 14위)을 기록했다.

◆8월 음원 장식…MBC ‘무한도전-영동대로 가요제’
걸그룹 대전이 끝난 후 MBC ‘무한도전’의 ‘영동대로 가요제’ 음원이 차트를 장악했다. 당시 아이유, 빅뱅의 지드래곤‧태양, 자이언티, 밴드 혁오, 박진영, 윤상이 멤버들과 함께 곡 작업에 나서 퀄리티 높은 음악을 선물했다.

특히 이유 갓지 않은 이유(박명수와 아이유)의 ‘레옹’은 36~38주차 종합차트 1위를 차지하면서 걸그룹은 물론 SG워너비와 힙합 가수들을 밀어냈다.

2015년 8월에는 MBC '무한도전'의 '영동고속도로 가요제' 음원이 차트를 장악했다. 또 SM엔터테인먼트의 타오와 설리가 소속 그룹에서 탈퇴했다.<사진=MBC/뉴스핌DB>

◆SM엔터테인먼트, 아이돌 탈퇴 러시…EXO 타오, F(x) 설리
막강한 팬덤을 자랑했던 SM의 엑소와 에프엑스 멤버가 연달아 탈퇴하면서 팬들의 실망 또한 커졌다. 타오는 지난 4월 엑소 탈퇴를 선언했고, 6월 중국에서 1인 스튜디오를 개설하면서 탈퇴를 공식화했다. 또 SM을 상대로 전속계약을 무효로 해달라며 소송을 제기했다.

에프엑스의 설리 역시 8월에 그룹 탈퇴 수순을 밟았다. 다이나믹 듀오 최자와 열애설이 터진 이후 활동을 잠정 중단했던 설리는 팬들 사이에서 ‘탈퇴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돌았다. 팬들의 추측은 사실이 돼 돌아왔다. SM 측은 “본인의 의사를 존중해 에프엑스를 탈퇴하고 연기 활동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며 에프엑스의 4인조 재편을 알렸다.

◆음원 사재기 논란…JYP‧YG‧SM‧스타제국이 나섰다
지난 9월 방송된 JTBC ‘뉴스룸’에서는 가요계의 골칫덩이인 ‘음원 사재기 의혹’을 다뤘다. 앵커 손석희는 “음원 사재기의 구체적 정황을 포착했다”고 보도했다. 당시 ‘뉴스룸’에 출연한 JYP엔터테인먼트 대표 박진영은 “음원 사재기가 존재한다고 생각한다”며 의혹에 힘을 더했다.

박진영은 음원 사재기 브로커를 SM, YG엔터테인먼트, 스타제국과 함께 힘을 모아 검찰에 고발한 바 있다고 밝혔다. 방송 이후 (사)한국음악콘텐츠협회(음콘협)는 보도자료를 통해 사재기 근절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네 번째 미니앨범 '챗셔' 발매와 동시에 구설수에 휘말린 아이유. 앨범 수록곡 '제제'는 소아성애자 콘셉트 및 성적묘사 논란을 일으켰다. <사진=이형석 사진기자·아이유 '스물셋' 뮤비·'챗셔' 앨범 재킷>

◆소아성애자·표절 논란…아이유 ‘챗 셔(CHAT-SHIRE)’
지난 10월 아이유가 야심차게 발매한 네 번째 미니앨범 ‘챗셔(CHAT-SHIRE)’의 앨범이 화제와 동시에 논란을 일으켰다. 수록곡 ‘제제(ZeZe)’와 보너스 트랙 ‘트웬티 쓰리(Twenty three)’ 그리고 앨범 커버가 문제였다.

첫 번째 논란의 시작이었던 보너스 트랙은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김미 모어(Gimme More)’를 무단 샘플링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이에 소속사 로엔트리 측은 “해당 보이스 샘플에 대한 확인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대한 해명이나 결과는 해가 넘어가는 아직까지 나오지 않았다. 

이어 11월에는 출판사 동녘이 수록곡 ‘제제’의 가사를 문제 삼았다. 동녘은 ‘넌 아주 순진해 그러나 분명 교활하지/어린아이처럼 투명한 듯해도 어딘가는 더러워’와 관련, 아이유가 소설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의 주인공을 성적대상으로 묘사했다고 주장했다. 또 앨범 커버 속 망사 스타킹을 신고 핀업걸 자세를 취한 제제 캐릭터도 문제 삼았다. 게다가 ‘스물셋’ 뮤직비디오와 앨범 재킷, 화보 등 아이유가 해왔던 콘셉트가 주목을 받으면서 소아성애자, 롤리타 의혹을 샀다.

이와 관련해 소속사와 아이유는 사과의 말을 전했지만, 대중의 마음은 꽤 돌아섰다. 이후 아이유는 콘서트에서 ‘제제’를 부르며 “여전히 사랑하는 곡”이라며 꿋꿋한 입장을 밝혀 지지와 따가운 눈총을 동시에 받아야만 했다.

◆힙합 아티스트들의 컴백 러시…지누션·다이나믹듀오·리쌍 길·지코
지난 4월 11년 만에 뭉친 지누션의 컴백 후 연말이 시작되면서 지코를 시작으로 아이콘, 산이X매드 클라운, 다이나믹듀오, 리쌍 길 등 힙합 아티스트들의 컴백 러시가 시작됐다.

지코는 블락비 멤버가 아닌 솔로로 ‘보이스 앤드 걸스(Boys And Girls)’ 음원을 발매했다. 이 곡은 46주차 1위를 차지했다. 이어 48주차(11월15~21일)에는 아이콘과 산이X매드 클라운, 다이나믹 듀오의 컴백이 맞물리면서 차트 경쟁이 치열해졌다.

아이콘은 ‘지못미’로 대선배인 다이나믹듀오의 ‘꿀잼’, 산이X매드 클라운의 ‘못 먹는 감’을 제치고 48주차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음주운전 논란으로 자숙기간을 가진 길은 야심차게 솔로로 첫 앨범을 발매했지만 49주차에서는 10위권 밖으로 밀려나는 굴욕을 맛봤다.

◆1980년대 노래의 재탄생…‘응답하라 1988’ OST
tvN에서 선을 보인 ‘응답하라 1988’에서는 출연진만큼이나 OST도 화제다. 선공개됐던 김필의 ‘청춘’은 당시 음원차트 상위권에 랭크됐다.

이후 오혁이 부른 ‘소녀’는 49주차에서 6계단 상승해 1위를 차지하며 힙합 아티스트들을 밀어냈다. 더불어 이적의 ‘걱정말아요 그대’, 김필의 ‘청춘’ 역시 사이좋게 3, 4위를 차지했다. 특히 오혁의 ‘소녀’, 이적의 ‘걱정말아요 그대’는 11월 월간 차트에서 2위와 5위를 기록하면서 ‘응답하라’ 시리즈의 인기를 실감케 했다.

오랜 공백기를 깨고 컴백한 신승훈, 싸이, 브라운 아이드 소울, 터보(시계 방향)<사진=도로시컴퍼니/산타뮤직/뉴스핌DB>

◆거물급 아티스트들의 컴백…신승훈‧임재범‧싸이·브라운 아이드 소울‧터보
힙합 아티스트들에 이어 거물급 가수의 컴백이 줄을 이었다. 9년 만에 정규 앨범을 발매한 신승훈을 시작으로 임재범, 싸이, 브라운 아이드 소울, 터보가 팬들과 다시 만났다. 신승훈은 정규 11집을 통해 수록곡 12개를 선물로 들고 왔다. 임재범은 데뷔 30주년 기념 앨범을 발매했다.

가장 큰 이슈는 당연히 싸이의 컴백이었다. 정규 7집 앨범 ‘칠집 싸이다’는 앨범 발매와 동시에 50주차 1위를 차지했다. 또 수록곡 ‘나팔바지’ ‘드림(Dream)’은 2위와 5위를 차지하면서 위력을 과시했다. 

브라운 아이드 소울은 정규 4집을 발매하면서 총 17곡을 담아왔다. 타이틀 ‘밤의 멜로디’는 51주차 5위를, 더블 타이틀 ‘홈(HOME)’은 11위를 차지하면서 다소 저조한 성적을 보였지만, 팬들의 환호는 어느때보다 뜨거웠다. 터보는 15년 만에 3인조 김종국, 김정남, 마이키로 컴백해 정규 6집을 발매했다. 오랜만에 뭉친 터보는 음원 발매와 동시에 온라인 음원 차트 줄세우기에 성공하면서 저력을 보였다.

이처럼 2015년 가요계는 이슈들과 사건사고 외에도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으로 듣는 이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했다. 또 FT아일랜드 이홍기, 소녀시대 태연, 씨엔블루 정용화, 샤이니 종현, 블락비 지코 등이 솔로 앨범을 발매하면서 아티스트로서의 면모를 뽐내기도 했다.

[뉴스핌 Newspim] 이지은 기자 (alice09@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트럼프, 韓 4대 그룹 총수들과 골프 [서울=뉴스핌] 송은정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주요 기업 총수들과 함께 한나절 동안 '골프 회동'을 진행했다. 글로벌 통상 현안이 산적한 가운데 열린 자리여서 관세와 대미 투자 관련 의견 교환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왼쪽부터)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사진=뉴스핌DB] 19일 외신에 따르면 18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오전 9시쯤 플로리다주 팜비치의 마러라고 별장을 나와 인근 '트럼프 인터내셔널 골프클럽'으로 이동해 오후 5시쯤까지 라운딩을 즐겼다. 백악관 풀기자단은 "트럼프 대통령이 오전 9시15분 골프장에 도착했다"고 전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등 한국 주요 대기업 총수들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이 이들을 초청했으며, 일본과 대만 주요 기업인들도 함께 자리했다. 한국의 주요 재벌기업 총수들이 집단적으로 미국의 대통령 및 정·관계 주요 인사들과 함께 골프를 즐긴 것은 사상 유례가 없는 일이다. 통상 4인 1조로 진행되는 아마추어 골프 경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누구와 한 조를 이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백악관은 풀기자단의 확인 요청도 거부했다. 골프장 입구는 경호원들에 의해 외부인의 접근이 차단됐다. 골프장 주변도 높은 나무로 빽빽이 둘러싸여 내부 확인은 어려웠던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기업인들과 동반 라운딩을 하지 않았더라도 경기 전후 또는 점심시간이나 휴식시간 등을 활용해 대화를 나눴을 가능성이 있다. 이 자리에서 반도체·자동차·배터리·조선 등 분야에서 이들 기업의 대미 투자 및 관세에 대한 의견이 오갔을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편 마러라고 별장 일대에서는 경찰이 기자와 시민의 접근을 통제하며 "VIP들이 있다"며 경계태세를 유지한 것으로 전해졌다. yuniya@newspim.com 2025-10-19 10:00
사진
김세영, 고향 땅에서 '5년만의 통산 13승' [서울=뉴스핌] 박상욱 기자 = '빨간 바지의 마법사'가 화려한 금의환향 퍼포먼스를 보여줬다. 고향 팬들과 가족의 열렬한 응원을 받은 김세영(31·메디힐)이 고향 땅에서 와이어 투 와이어로 천금 같은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2020년 11월 펠리컨 챔피언십 이후 5년이라는 긴 침묵을 깨고 LPGA 통산 13승을 기록했다. 한국은 올 시즌 6승과 함께 7명째 LPGA 우승자를 배출했다. 김세영은 19일 전남 해남군 파인비치 골프링크스(파72·6785야드)에서 열린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최종일 4라운드에서 5언더파 67타를 적어내 최종 합계 24언더파 264를 기록, 단독 2위 하타오가 나사(일본)를 4타 차로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 24언더파는 대회 72홀 최저타 신기록이다. 우승 상금 34만 5000달러(약 4억9000만원)를 보태 통산 1518만 달러의 상금을 쌓아 로레나 오초아(멕시코)를 제치고 역대 상금 10위에 올랐다. 김세영이 19일 열린 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최종일 우승 트로피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LPGA] 이날 4타 차 선두로 출발한 김세영은 초반 불안한 출발을 보였다. 3번 홀에서 짧은 파 퍼트를 놓치며 1번 홀에서 버디를 잡은 노예림에게 2타 차까지 쫓겼다. 그러나 5~7번 홀에서 3연속 버디를 잡아 추격자들의 의지를 꺾었다. 이어 9번 홀(파4)에서 버디를 추가하며 2위와 4타 차로 벌려 우승 가능성을 높였다. 후반에는 추격자들이 타수를 줄이지 못하au 단독 2위 경쟁을 하는 사이 김세영은 편안하게 타수를 지켜가며 우승을 굳히는 상황으로 진행됐다. 후반 첫 4개 홀을 파로 지나간 김세영은 14, 15번 홀에서 버디를 보태 2위로 치고 올라온 셀린 부티에(프랑스)와 6타 차까지 벌려 사실상 우승을 확정했다. 김세영이 19일 열린 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최종일 챔피언 퍼트를 넣은 뒤 기뻐하고 있다. [사진=LPGA SNS동영상 캡처] 해남 옆동네인 전남 영암군에서 태어난 김세영은 한국 국적 선수로는 2021년 고진영 이후 4년 만에 이 대회 챔피언에 올랐다. 2019년에 시작한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은 2023년까지 한국 선수 혹은 한국계 선수들이 우승컵을 가져갔다. 2019년 장하나, 2021년 고진영, 2022년 리디아 고(뉴질랜드), 2023년 이민지(호주)가 우승했고 지난해엔 호주의 해나 그린이 이 대회 최초로 한국 또는 한국계 선수가 아닌 우승자로 이름을 남겼다. 2025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우승자 안세영. [사진=LPGA] 김세영은 2015년 LPGA 투어에 데뷔해 3승을 거두며 신인상을 수상했다. 이후 2020년까지 매년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2019년에는 3승을 쓸어 담았고 2020년에는 메이저 대회인 KPMG 위민스 PGA 챔피언십 우승을 포함해 2승을 달성하며 올해의 선수상까지 거머쥐었다. 특히 김세영은 2018년 7월 손베리 크리크 클래식에서 31언더파(63-65-64-65, 257타)로 우승하며 남녀 통틀어 72홀 역대 최저타 및 최다 언더파 신기록을 세웠다. 이전 기록은 LPGA 애니카 소렌스탐의 27언더파, PGA 어니 엘스의 30언더파였다. 한국 선수들은 이날 대약진했다. 김아림이 이날 6타를 줄이며 공동 3위에 올랐고 안나린과 최혜진은 무려 9타씩 줄여 나란히 공동 7위에 랭크됐다. 김효주와 이소미가 공동 10위에 자리해 한국 선수 6명이 톱10에 진입했다. 고진영도 8타를 줄여 고교생 아마추어 오수민과 함께 공동 19위로 순위를 크게 끌어 올렸다. 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대회 중 은퇴 기념 케이크를 선물 받은 지은희(가운데). [사진=LPGA] 19일 열린 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최종일 캐디로 나선 최나연. [사진=LPGA] 19년 LPGA 투어 생활을 마감하는 은퇴 무대로 이번 대회에 공동 24위로 마친 지은희는 9번 홀에서 현역 마지막 퍼트를 버디로 장식하며 갤러리들의 뜨거운 박수 갈채를 받았다. 루키 윤이나는 3타를 줄이는 데 그쳐 공동 24위로 톱10 진입에 실패했다. 2023년 은퇴한 최나연은 이번 대회에서 이정은5의 캐디로 나서 눈길을 끌었다. psoq1337@newspim.com 2025-10-19 16:1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