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속보

더보기

[차이나모닝브리핑] 공모주 청약에 자금 집중, RP금리 폭등 (종합)

기사입력 : 2015년02월11일 10:41

최종수정 : 2015년02월11일 10:49

 

[뉴스핌=중국본부] 




◆ 대규모 신주 공모주 청약에 레포금리 급등

대규모 신주 공모청약에 따른 단기 자금 결핍으로 중국의 레포(RP 환매조건부채권)금리가 폭등세를 나타냈다.

왕이재경(網易財經) 등 복수의 중국 매체에 따르면, 17개 신주 공모청약이 이뤄진 10일 상하이거래소에선 1일물 레포 금리가 6042.5% 올랐다. 이날 상하이와 선전거래소에서는 1,2,3,7일물 환매조건부채권의 금리가 일제히 급등세를 보였다.

기관투자자가 공모주 청약에 나서면서, 자금 수요가 급증하자 단기 융자 금리인 레포 금리가 급등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신주 공모청약 규모는 지난해 중국이 IPO를 재개한 후 가장 컸다. 중국에서는 신주 공모청약이 이뤄질 때마다 레포 금리가 급등하는 현상이 반복됐지만, 10일에는 대규모 청약이 집중돼 금리 상승세가 더욱 가팔랐다.

이번 주(2월 9일~13일)에 예정된 공모주 청약 물량은 총 24개, 이중 10일에 17개 종목의 신주 공모청약이 진행됐다. 이번 주 신주 청약으로 동결될 자금은 1월과 비슷한 2조 위안으로 추산된다. 중국에서는 A주 IPO를 앞둔 공모주 청약시 청약자의 일부 자금을 동결한다.

한편 이번 주에는 대규모 보호예수 주식 해제도 예정되어 있다. 18개 주의 보호예수 주식 20억 2400만 주가 해제되며, 시가총액은 224억 6400만 위안에 달한다.

*레포 금리: 레포(Repo)는 환매조건부채권 매매를 뜻하며, 레포 금리는 기관 간 레포 매매에 적용되는 금리를 가리킨다. 레포금리는 채권을 담보로 돈을 융통한 후 상환시 적용되는 금리로 이해할 수 있다.

◆의약품 전자상거래 허용에 관련 A주 주가 날개

온라인 처방약 판매가 가능해 짐에 따라 중국 의약품 전자상거래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관련 테마주도 탄력을 받고 있다.

시나재경(新浪財經) 등에 따르면, 온라인 처방약 판매가 춘제(春節, 설) 이후 정식으로 시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의약품 전자상거래 규모가 올해 100억 위안(약 1조7500억원)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특히 중국 처방약 시장 규모는 비(非)처방약 시장의 3배 가량으로, 처방약 온라인 판매가 가능해지면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더한 처방약 시장 규모가 1조 위안까지 확대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한편, 의약품 전자상거래 시장이 확대될 것이란 낙관 속에서 관련 테마주들의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물류 및 공급체인을 갖추고 있는 구주통(九州通, 600998.SH)의 경우 10일 개장과 함께 강세를 나타내며 무려 9.98% 상승, 일찌감치 상한가(21.49위안)를 기록하며 거래 마감했다.

이와 함께 탄탄한 오프라인 판매망을 보유하고 있는 일심당(一心堂, 002727.SZ)도 8% 이상 오른 49.98 위안에 거래를 마쳤고, 또 다른 제약회사 가사당(嘉事堂, 002462.SZ)의 주가 상승폭도 6%를 넘어섰다.

전문가들은 더불어 태안당(太安堂, 002433.SZ)도 유망 종목으로 추천했으며, 태안당 또한 10일 7% 이상 상승했다.

◆ 중국 쓰촨성 연고 상장기업, 반부패 직격탄

중국 정부가 A증시 국유 상장사에 대한 대대적인 부정부패 조사에 착수하면서 쓰촨(四川)성 기업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최근 도로 및 교량 건설 업체인 청두루차오(成都路橋·Chengdu Road & Bridge Engineering, 002628.SZ)의 지배주주이자 회장인 정위리(鄭渝力)가 뇌물 공여 혐의로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두루차오는 6일 공고를 통해 정위리 회장이 개인적인 사유로 회장직에서 사임한다고 발표하며, 당국의 반부패 조사가 미칠 부정적 여파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정위리 회장은 청두루차오의 최대 주주다. 2014년 3분기 기준, 정위리 회장 개인이 보유한 청두루차오 지분은 12.03%(8870만주)로 주식 가치가 4억8000만 위안(약 870억원)에 달한다.

청두루차오의 지난해 영업실적은 그다지 좋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2014년 1~9월 매출은 11억4500만 위안(약 2010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66.45% 급감했다. 같은기간 순이익도 전년 대비 58%나 줄어든 1억1000만 위안(약 194억원)에 불과했다. 2014년 한 해 순이익은 2013년보다 50~70% 감소한 9445만~1억5700만(약 166억~276억원)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당국의 부정부패 조사 여파로 청두루차오 주가는 10일 6.43% 폭락한 5.09위안으로 주저앉았다.

한편, 중국 정부의 반부패 칼날이 쓰촨성 기업을 집중 겨냥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청두루차오를 비롯해 진루그룹(金路集團·Sichuan Jinlu Group, 000510.SZ), 밍싱케이블(明星電纜·Sichuan Star Cable, 603333.SH), 가오신파잔(高新發展·ChengDu Hi-Tech Development, 000628.SZ), 후이위안통신(匯源通信·Sichuan Huiyuan Optical Communications, 000586.SZ) 등 다수 쓰촨 소재 상장사가 부정부패와 관련이 있다고 중국증권망(中國證券網)은 전했다.

상하이우마오 허위보고, 감독 당국에 덜미 

상하이 소재 무역업체인 상하이우마오(上海物貿·Shanghai Material Trading, 600822.SH)가 4년간(2008~2011년) 실적을 허위로 보고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시나재경(新浪財經) 등 중국 매체는 상하이우마오가 9일 상하이증권감독관리국으로부터 '행정처벌사전고지서'를 받았다며 이같이 전했다.

상하이우마오가 실적을 허위로 부풀려 공개한 사실이 증명될 경우, 관계자들에 엄중한 처벌이 내려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2008~2011년 상하이우마오가 부풀린 수익은 2억6600만 위안(약 467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진다.

상하이우마오는 상하이FTZ 테마주로 각광받으며 지난해 7월 9위안대의 주가가 10월 말 13위안 가까이 치솟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상하이FTZ 테마주에 대한 관심이 수그러들었고, 허위 실적 공개로 인한 당국의 조사를 받으면서 상하이우마오 주가가 대폭 조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공천개입 의혹' 윤상현 의원, 김건희 특검 출석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공천 개입 의혹을 받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오전 소환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마련된 김건희 특검 사무실로 출석하고 있다. 2025.07.27 mironj19@newspim.com   2025-07-27 09:41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