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中 20년만에 지방채 직접발행, 광둥성 '첫 테이프'

기사입력 : 2014년06월19일 15:04

최종수정 : 2014년06월19일 15:11

지방정부 채무위기 근원 해소엔 역부족

[뉴스핌=강소영 기자] 20년 만에 재개된 중국 지방정부의 채권 직접발행 시범제도가 광둥성(廣東省)을 시작으로 본격 시행에 돌입한다.

중국 경제전문지 제일재경일보(第一財經日報)는 광둥성이 이번달 23일 148억 규모의 지방채 공개입찰을 실시한다고 19일 보도했다.

중국 재정부는 올해 5월 21일 상하이(上海)·저장(浙江)·광둥(廣東)·선전(深圳)·장쑤(江蘇)·산둥(山東)·베이징(北京)·장시(江西)·닝샤(寧夏)·칭다오(青島)를 직접 채권 자체 발행 시범지역으로 지정했다. 이제까지는 중앙정부가 지방정부를 대신해 채권을 발행해왔다.

광둥성은 관련 제도가 발표된 후 처음으로 지방채 발행에 나선다. 23일 광둥성은 5년,7년,10년 만기의 지방채를 각각 59억 2000만 위안, 44억 4000만 위안과 44억 4000만 위안 규모로 발행한다.

조달한 자금 148억 위안 가운데 광둥성 고속도로 건설과 철도건설 등 성내 인프라 구축에 100억 위안을 쓰고, 일부 자금은 하위 지방자치 단체에도 분배할 예정이다.

지방채 발행을 위해 광둥성은 건설(建設)·공상(工商)·농업(農業)·교통(交通)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 14곳과 중신(中信)·국해(國海) 증권의 2곳의 증권사를 주간사로 선정했다. 이들 주간사는 23일 오전 '재정부 국재발행 공개입찰 시스템'을 통해 입찰해 참가할 예정이다.

광둥성이 발행할 채권은 전자채권으로 발행 후 전국 은행 간 채권시장과 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된다. 채권 발행에 앞서 광둥성은 상하이 신스지자산평가투자회사(上海新世纪资信评估投资)로부터 최고 신용등급인 AAA를 획득했다.

이 신용평가사는 △타 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은 광둥성의 경제규모와 1인당 평균 경제수준 △ 산업구조 개선 △ 탄탄한 재정과 뛰어난 관리능력 등이 광둥성의 신용등급을 높이는 주요 요소가 됐다고 밝혔다.

신용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말 광둥성 정부의 GDP대비 채무율은 59.14%로 국제 평균 수준인 90~150% 보다 훨씬 낮고, 중국 전국 평균인 113.41%을 크게 밑도는 수준으로 재정상황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광둥성 경제가 부동산 시장과 국제시장에 대한 의존성이 높은점은 문제로 지적됐다.

◇ 올해와 내년 지방채 만기 집중...부동산, 채무 위기 도화선 

중국이 지방정부의 채권 직접발행을 추진하고 있는 것은 지방정부의 막대한 부채 해소와 그림자 금융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서다. 

중국은 1994년 이후 지방정부가 직접 채권을 발행하는 것을 금지해왔다. 자금부족에 시달린 각 지방정부는 지방정부투자기관(LGFV)를 설치해 편법으로 차입에 나섰고, 그 결과 중국 전역에 1만개가 넘는 지방정부 투자기관이 난립하게 됐다. 현재 지방정부의 부채규모는 중국 GDP의 32%에 달한다.

이런 배경에서 중국 정부가 재정상황이 양호한 지방정부를 대상으로 지방채 직접발행을 허용했지만, 이미 눈덩이처럼 불어난 지방정부 부채는 중국 경제를 시시각각 위협하고 있다.

19일 중국 경제참고보(經濟參考報)는 올해와 내년 지방정부의 채무 상환 압력이 최고에 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심계서(審計署)의 자료에 따르면, 2013년 6월 말 기준 지방정부 채무규모는 10조 8000억 위안이다. 2014년과 2015년 채권 만기가 도래하는 지방채는 각각 전체의 21.89%와 17.06%. 이를 근거로 추산하면 올해와 내년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규모는 각각 2조 4000억 위안과 1억 8000만 위안으로 총 4조 2000억 위안에 달한다.

2016년과 2017년 만기 상환 채권 비율은 11.58%와 7.79%, 2018년 이후는 18.76%이다. 즉, 올해와 내년 만기 채권 상환부담이 최고조에 달하고, 내후년부터는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중국 부동산 경기가 급랭하면서 지방정부의 자원 조달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점. 중국 지방정부는 주로 토지 임대료를 통해 재원을 조달했는데, 부동산 시장의 거품이 꺼지면서 부동산 투자가 줄어들고 있어 지방정부의 토지 임대료 수익도 급감할 위기에 처했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