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백현지 기자] 진도 9.0 사상 초유의 강진에 의한 쓰나미가 휩쓸고 지나간 자리에는 지진보다 더 무서운 방사능 공포가 똬리를 틀고 버티고 있다.
섬나라 특성상 지반(地盤)이 연약한 일본은 역사상 유례없는 대재앙에 휩싸였다. 마치 영화의 한 장면 같은 거대한 해일은 평화로운 도시를 집어 삼키면서 이를 지켜보는 전 세계인들을 경악하게 만들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사망하거나 실종됐으며 도시의 주택과 기반시설들은 폭격을 맞은 것처럼 구겨지고 매몰돼 형체를 알 수 없을 만큼 처참한 형국을 보였다.
하지만 무엇보다 일본인들을 더욱 불안하게 하는 것은 쓰나미가 휩쓸고 간 폐허의 공간을 방사능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2일 오후 후쿠시마 원전 제1호기서 시작된 폭발로 세계 최고의 원전기술력을 자부하던 일본의 자존심은 바닥으로 곤두박질 쳤다. 여기서 시작된 원전 화재는 아직 진행중으로 일본 정부의 원전 관리 능력까지 의심받고 있다.
일본의 이웃 한국도 방사능 공포에서 자유롭지 않다. 원자력의 안전 여부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 심리는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 최고(最古)원전인 고리원전 1호기는 지난 1978년 준공, 사용연한인 30년을 넘겨 10년 연장에 들어갔다. 2012년 폐쇄 예정인 월성 1호기도 수명연장이 예상된다.
시민ㆍ환경단체가 사용연한이 지난 원전의 폐쇄를 요구했지만 정부는 3조에 달하는 원전건설 비용을 이유로 수명연장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고리 1호기와 월성 1호기의 경우 국내 다른 원전과 다르게 저지대에 위치해 쓰나미 위험에 노출됐다. 월성 1호기의 사용연한보다 이른 압력관 교체는 그 자체가 내구연한을 다했다고 평가된다.
독일과 중국 등은 일본의 원전사고로 노후 원전의 폐쇄를 결정했다.
한국 정부는 국내 원전은 안전하다는 보도를 연일 내고 있지만 원전 안전법의 심의가 지연되는 등 제도적 대책은 부실하다. 원전의 사용이 연장된다면 안전을 보장할만한 기술적,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아울러 정부는 국내 원전의 안정성에 대한 납득할만한 자료를 제공하며, 원전사고에 대비한 비상대응 지침도 함께 제시해야한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수익률대회 1위 전문가 3인이 진행하는 고수익 증권방송!
▶검증된 전문가들의 실시간 증권방송 `와이즈핌`
[뉴스핌 Newspim]백현지 기자 (kyunj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