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4차 발사 완벽 성공… 발사 42분 만에 교신 확인
발사체·위성 동시 수행… 표준 플랫폼 수출 본격화
[서울=뉴스핌]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총괄 주관해 개발한 '차세대중형위성 3호'가 27일 새벽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에 실려 성공적으로 궤도에 안착했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이날 오전 1시 13분 누리호 4차 발사에 주탑재체로 올라 탄 뒤, 발사 약 40분 만인 오전 1시 55분 지상기지국과 첫 교신에 성공하며 정상 작동을 확인했다. 우주항공청과 KAI는 위성이 예정된 궤도에 진입해 설계대로 임무 수행이 가능한 상태라고 밝혔다.
![]() |
| KAI가 총괄제작한 차세대 중형위성 3호. [사진=사진=KAI 제공] 2025.11.27 gomsi@newspim.com |
이 위성은 KAI가 차세대중형위성 1호에서 축적한 표준 플랫폼 기술을 토대로 독자 설계·제작한 국내 최초 민간 개발 중형급 위성이다. 우주기술 확보와 우주과학 임무 수행을 목표로 개발됐으며, 수출을 염두에 둔 국산 부품 적용과 플랫폼 표준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노린 것이 특징이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에는 3개의 과학 탑재체가 실려 지구·우주·생명과학 실험을 동시에 수행한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지구 오로라 및 대기관을 관측하고, KAIST는 우주 플라즈마와 자기장 측정을 통해 전리권 교란 현상을 추적하며, 한림대는 바이오 3D 프린팅 기반 줄기세포 3차원 분화배양 가능성을 검증한다.
KAI는 이번 누리호 4차 발사에서 위성 제작뿐 아니라 발사체 1단 추진체 핵심 부품 제작과 총조립까지 맡아 '발사체+위성' 통합 역량을 선보였다. KAI는 차세대중형위성 사업으로 확보한 표준 플랫폼과 국산화 기술을 앞세워 향후 위성 수출과 서비스 사업화에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김지홍 KAI 미래융합기술원장은 "이번 발사 성공이 국내 민간 주도 우주 산업화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KAI가 첨단 위성과 재사용 발사체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혀 한국의 '우주 경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했다.
gomsi@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