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BSI 98.7...3년 9개월째 기준선 아래
제조업 91.9로 둔화 심화...비제조업 105.2로 회복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한국경제인협회가 발표한 12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이 기준선 100 아래에서 머물렀다. 제조업 침체가 이어지는 반면 비제조업은 반등하며 업종별 흐름이 갈리는 모습이다.
28일 한경협에 따르면 2025년 12월 BSI 전망치는 98.7이다. 기준선 100 아래 상황이 2022년 4월 이후 3년 9개월 이어졌다. 11월 실적치는 98.1로 2022년 2월 이후 3년 10개월째 부진이 계속됐다.
업종별 전망은 대조적이다. 제조업 BSI는 91.9로 전월 대비 4.9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4월부터 1년 9개월째 기준을 밑돈 흐름이다. 반도체 장비가 포함된 일반·정밀기계와 전자·통신장비는 각각 119.0과 111.1로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 섬유·의복·가죽·신발은 100에 걸쳤다. 비금속 소재·제품은 69.2로 가장 낮았고 의약품, 금속·가공, 석유정제·화학 등 7개 업종이 부진했다.
![]() |
| 내수·수출·투자 BSI 추이 [사진=한경협] |
한경협은 반도체 호조가 일부 업종 회복을 이끌 수 있다고 봤다. 다만 부동산 경기 둔화로 비금속 소재·제품 업황이 약한 점을 지적했다. 금속·가공 업종도 미국의 고율 관세 영향으로 심리가 약한 상황이라는 분석이다.
비제조업 BSI는 105.2로 전월 대비 12.4포인트 상승했다. 기준선 100을 5개월 만에 다시 넘었다. 전기·가스·수도는 121.1, 여가·숙박·외식은 114.3, 정보통신과 전문·과학·기술 서비스는 106.7을 기록했다. 도소매 유통과 운수·창고도 100 이상이었다. 건설만 95.5로 비제조업 중 유일하게 부진했다. 한경협은 연말 수요 증가와 소비 회복이 비제조업 심리를 끌어올린 것으로 봤다.
부문별 전망은 여전히 약한 흐름이다. 내수 98.1, 수출 97.3, 투자 95.0으로 모두 기준 아래다. 다만 세 지표는 연중 최고 수준에 근접하며 개선 흐름을 보였다. 수출은 올해 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반도체 수출은 양호한 흐름이지만 환율 상승과 관세 부담이 제조업 전반을 압박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환율 안정과 관세 완화 노력에 더해 K-스틸법(철강산업 경쟁력 강화와 녹색철강기술 전환 특별법안)과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법안과 같은 지원책을 활용해 기업 활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syu@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