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호조' 낙관 시나리오선 성장률 2.0% 전망
물가는 환율·유가 움직임이 리스크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한국은행이 내년 우리나라 예상 경제 성장률을 1.8%로 제시했다. 글로벌 반도체 호조와 미중 관세 인하 합의 등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 완화를 감안해 지난 8월 전망(1.6%) 대비 0.2%포인트 상향 조정했다다.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올해 1150억달러, 내년 1300억달러로 연이어 사상 최대치를 경신할 것으로 내다봤다.
27일 11월 경제전망(Indigo Book)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올해 1.0%, 내년 1.8%로 제시됐다. 이는 8월 전망 당시 각각 0.9%, 1.6%를 제시했던 것에서 0.1%포인트, 0.2%포인트씩 상향한 것이다. 2027년 성장률은 1.9%을 예상했다.
![]() |
| [자료= 한국은행] |
내년에는 소비 회복세가 지속되고 건설 부진이 완화되면서 내수를 중심으로 성장세가 확대될 것으로 봤다. 수출은 미국관세 영향으로 둔화되지만 반도체의 경우 견조한 흐름을 나타낼 것이란 관측이다.
2027년에는 양호한 내수 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수출도 글로벌 경기 개선 등으로 증가세가 확대되며 성장률이 1.9%로 높아질 것으로 봤다.
내년 GDP 성장률이 0.2%p 상향조정된 것은 건설경기의 더딘 회복에도 글로벌 반도체 경기 호조, APEC 이후 불확실성 완화 및 반도체관세 부과시점 전제 이연 등 정부의 확장재정, 미중 무역갈등 완화 등에 기인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와 내년 모두 2.1%로 지난 전망 2.0%, 1.9% 대비 상향 조정했다. 2027년에는 2.0%로 목표수준의 상승률이 예상된다.
내년에는 국제유가 하락 등 하방요인에도 높아진 환율, 내수부진 완화 등의 영향으로 소비자물가가 2.1%의 상승률을 이어가겠으며, 2027년에는 2.0%로 소폭 낮아질 전망이다.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올해 1150억달러, 내년 1300억달러로 각각 사상 최대치를 경신할 전망이다. AI 및 일반서버 수요 확대에 따른 반도체 가격의 큰 폭 상승, 국제유가 안정세 지속 등 교역조건 개선으로 상품수지 흑자규모가 늘어날 것으로 봤다. 본원소득수지도 흑자폭 확대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판단했다.
취업자수 증가규모는 올해 18만명, 내년 15만명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에는 생산연령인구 감소 등으로 증가규모가 올해보다 축소되겠으나 민간고용은 서비스업 업황 개선, 건설경기 부진 완화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은은 향후 성장 전망경로에는 글로벌 통상환경, 반도체 경기 등과 관련한 상·하방 불확실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물가의 경우 환율, 유가 움직임을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했다.
낙관적 시나리오에선 AI 확산으로 견조한 반도체 수요가 이어지고 미국의 반도체 품목관세도 보류되면서, 우리 반도체 수출이 올해 10%대 중반에 근접한 수준의 증가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내년 경제 성장률은 기본전망 대비 0.2%p 상승하고, 물가상승률도 0.1%p 높아질 것으로 추정했다.
반면 비관적 시나리오는 AI 투자가 과도한 것으로 평가되면서 반도체 수출의 증가세가 내년 하반기 중 둔화되는 상황이다. 이 경우 국내 성장률은 기본전망 대비 0.1%p 하락하겠지만, 물가상승률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한은은 환율 움직임도 주목하고 있다. 관련해 환율이 1% 상승할 때 소비자물가는 0.03% 정도 상승하는 것으로 짚었다. 이지호 한은 조사국장은 "높은 환율에 대한 불편함은 대개 경기 양극화로, 수출 대기업은 연관 이익을 향유할 수 있는데 중소기업들은 그렇지 않다"며 "가계와 기업, 수출 대기업과 중소기업 등 경기 양극화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는 점이 문제"라고 설명했다.
romeok@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