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감위, 지난 10일 재배분 신청서 접수 마감
환승·상용 수요 반영, 전략 노선 선점 의도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이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의 국제선 노선 재배분에서 '수익성 중심' 전략을 강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노선 신청에는 대부분의 LCC가 몰렸지만, 괌·시애틀 노선은 지원 항공사가 전무해 성장 가능성에 따른 선택과 집중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항공업계는 이번 배분이 향후 국제선 시장 판도를 가를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18일 업계와 정부에 따르면 공정위 이행감독위원회(이감위)는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으로 회수된 인천~자카르타·시애틀·괌, 부산~괌 등 국제선 노선 재배분 신청을 지난주 마감했다. 자카르타 노선에는 제주항공·이스타항공·에어프레미아 등 LCC 대부분이 참여했지만, 괌과 시애틀 노선은 신청사가 전무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별 여객 수요와 각 노선 수익성이 LCC들의 전략에 고스란히 반영된 셈이다.
![]() |
항공업계에서는 자카르타 노선 쏠림 현상이 LCC의 철저한 선택과 집중 전략에서 비롯됐다고 분석한다. 자카르타는 한국 기업의 현지 진출로 인한 출장 및 상용 수요 확대, 낮은 시장 포화도, 평균 탑승률 85% 수준으로 안정적인 수익성, 환승 네트워크 확장까지 가능한 대표적 알짜 노선으로 꼽힌다. 항공업계 한 관계자는 "자카르타는 진입 후 경쟁사 유입이 쉽지 않은 노선이라 확보 여부가 향후 5년 LCC 국제선 전략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괌과 시애틀은 LCC들의 외면을 받았다. 괌 노선의 경우 최근 공정위 규제로 공급이 급격히 늘어나 출혈 경쟁이 심화됐고, 결국 제주항공과 티웨이항공이 운항을 중단했다. 여객 수도 급감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인천~괌 노선 여객 수는 37만8000명으로 2019년 대비 43%나 감소한 수준에 그쳤다. 시애틀 노선의 경우 교민과 유학생 등 수요가 꾸준히 있는 곳으로 평가되지만, 에어프레미아는 이미 샌프란시스코, 뉴욕, 로스앤젤레스(LA) 등 노선을 운항 중이고 미국 경쟁당국에서 호놀룰루 노선 대체항공사로 지정된 만큼 기존 미주 노선 유지에 무게를 둔 것으로 풀이된다. 파라타항공은 기재 상황과 기존 계획 등을 고려해 신청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 |
| 인천국제공항 주기장 모습 [사진=뉴스핌DB] |
이 같은 흐름은 LCC들의 전략 기준이 단순 공급 확대에서 '수익성·성장 가능성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비수익 노선은 과감히 제외하고, 관광·상용·환승 수요가 결합된 핵심 노선에 집중하는 흐름이 더욱 명확해졌다는 평가다.
항공업계의 최대 관심사는 누가 자카르타 노선을 확보하느냐다. LCC들 사이에서는 이스타항공이 이번 배분에서 가장 우위에 있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스타항공은 최근 인천~인도네시아 마나도 부정기 취항을 통해 현지 노선 경험을 쌓았고, 운항 가능한 기재 여유도 강점으로 꼽힌다. 이는 평가 과정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제주항공 역시 동남아 운항 경험과 인도네시아 발리·바탐 노선을 운영하는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경쟁력이 있다는 평가를 받지만, 지난해 사고 여파가 평가 점수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란 관측도 있다.
LCC들의 전략 변화는 단기 수익 개선을 넘어 장기 네트워크 재편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항공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이번 재배분은 단순 운수권 경쟁이 아니라 LCC 산업 구조 재편의 신호탄"이라며 "아시아 거점 강화 전략이 환승 수요 확보까지 연결되면 중장기 경쟁 판도 변화가 더 뚜렷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공정위 이감위는 오는 24일 1차 심사를 통해 이달 말 적격사 통보를 할 예정이다. 이후 국토교통부의 2차 심사를 거쳐 내달 중 최종 배분 결과가 발표된다.
ayki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