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설계부터 체계 종합·운용까지 전 과정 자체 수행
NEOS RTOS·비행 SW 등 자체 개발 소프트웨어 적용해 기술력 검증
국산 태양전지판·구조체 등 하드웨어 장착…우주 환경 실증 예정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한컴인스페이스가 오는 27일 새벽 발사 예정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4차에 자체 개발 기술로 제작한 초소형 위성 '세종 4호'를 탑재한다고 17일 밝혔다.
세종 4호는 한컴인스페이스가 시스템 설계부터 체계 종합, 운용까지 전 과정을 독자적으로 수행한 위성이다. 회사가 독자 개발한 실시간 운영체제 'NEOS RTOS'와 비행 소프트웨어(FSW)가 적용, 운영체제는 탑재컴퓨터(OBC) 운용을 맡고, 비행 소프트웨어는 위성의 자세 제어와 임무 수행을 담당한다. 여기에 국산 태양전지판과 구조체 등 하드웨어가 장착돼 우주 환경에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통합 운용 능력을 검증하게 된다.
세종 4호는 가로 200mm, 세로 100mm, 높이 340mm, 무게 약 7.6kg의 6U급 초소형 위성으로, 고도 600㎞ 저궤도에서 5m급 다중분광 영상을 촬영한다. 약 90분마다 지구를 한 바퀴씩 돌며 하루 14~16회 관측을 수행한다.
![]() |
| 한컴인스페이스가 자체 제작한 초소형 위성 '세종 4호'. [사진=한컴인스페이스] |
한컴인스페이스는 세종 위성에서 수집한 영상과 드론·지상 센서 등 이종 데이터를 통합 플랫폼 '인스테이션(InStation)'에서 실시간 융합·분석한다. 플랫폼은 멀티-INT 기반 '야누스(Janus)' 엔진과 AI 학습·배포 자동화(MLOps) 기술을 핵심으로, 농업·산림·토지 변화 모니터링부터 재난 탐지, 국방 감시, 산업안전 등 다양한 분야의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관련 기술은 100여 건 이상의 사업에서 활용되며 효용성이 입증됐다는 설명이다.
한컴인스페이스는 2022년 세종 1호와 2025년 세종 2호 발사에 이어 이번 세종 4호를 통해 군집위성 시스템 구축 기반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군집 운용을 통해 위성 데이터 수집 밀도와 빈도를 높여 고정밀 분석 서비스를 강화할 방침이다.
세종 4호는 지난 5월 우주물체 예비등록을 완료했고, 지난 10월 31일 나로우주센터에 인도돼 이달 3일 누리호 4차 발사관에 탑재됐다. 내년에는 442밴드 초분광카메라를 장착한 '세종 3호'도 스페이스X 팰컨9을 통해 발사될 예정이다.
최명진 한컴인스페이스 대표는 "이번 세종 4호 발사는 한컴인스페이스의 위성 개발 기술력과 시스템 통합 역량을 우주 공간에서 실증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확보한 기술을 기반으로 위성 개발부터 운용, 데이터 분석까지 이어지는 밸류체인을 강화하고, 데이터 인텔리전스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라고 밝혔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