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오찬 정상회담'
일시 : 2025년 10월 29일(수)
장소 : 국립 경주박물관
[서울=뉴스핌] 박찬제 기자 = * 'AI MY 뉴스'가 제공하는 AI 어시스턴트로 요약한 내용으로 퍼플렉시티 AI 모델이 적용됐습니다. 상단의 'AI MY 뉴스' 로그인을 통해 뉴스핌의 차세대 AI 콘텐츠 서비스를 활용해보기 바랍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말레이시아 일간지 더스타(The Star)에 기고한 연설문에서 "대한민국은 아세안 국민의 꿈과 희망을 실현하는 조력자이자, 성장과 혁신의 도약대, 그리고 평화와 안정의 파트너가 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은 이번 방문이 양국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와 한-아세안 협력의 미래 구상을 공유하는 자리임을 강조했다.
![]() |
| [서울=뉴스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APEC 2025 KOREA & 연합뉴스] 2025.10.29 photo@newspim.com |
◆ 말레이시아와의 역사적 인연, 미래 파트너십 강조
"올해는 한-말레이시아 수교 65주년으로, 한국은 동방정책의 핵심 파트너로서 말레이시아의 발전에 함께해왔습니다. 안와르 총리님의 공식 방한 계기에 양국이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한 것은 더 밝은 미래의 이정표였습니다.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교역·투자·인프라·방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 협력 강화를 기대합니다."
◆ 한-아세안 관계의 기반과 미래 구상
"말레이시아는 아세안 발전의 핵심적 역할을 해왔고, 한-아세안 정상회의 등 각종 협력 메커니즘 토대를 구축했습니다. 한국은 아세안 중심성 존중을 바탕으로 협력을 심화하고, 이번 정상회의에서 협력의 청사진을 공유할 것입니다."
◆ '꿈과 희망·성장 혁신·평화 안정'의 전략적 동반자 비전
"한국은 아세안 국민의 꿈과 희망을 이루는 조력자가 되겠습니다. 1천만 명 이상 한국인이 아세안을 방문하고, 아세안 국민들도 한국에서 성장하며 문화적·경제적 교류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케이팝 그룹(블랙핑크 리사, 뉴진스 하니, 키라스 링링 등)에 활약하는 아세안 출신 청년들은 공동 창의성의 상징입니다. 한국 정부는 더 많은 아세안 국민이 꿈을 실현할 수 있게 제도적 문턱을 낮추고 협력 정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 성장과 혁신의 구체적 협력 제안
"한-아세안 연간 교역액 3,000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FTA 개선 협상 개시를 제안합니다. AI·디지털·보건·에너지 등 미래 주력산업 협력, 인재 양성, 기술교류를 통해 혁신적·역동적 성장 기반을 마련하겠습니다. 말레이시아에서도 한-아세안 디지털 아카데미가 운영될 예정입니다."
◆ 평화와 안전, 미래 공동 번영 구상
"한국은 아세안의 파트너로서 초국가범죄, 해양안보, 재난 대응 등 역내 평화와 안전 수요에도 적극 부응할 것입니다. 아세아나폴, AHA센터 등 역내 기관과 협력하며, 해양 치안·재난대응 지원도 강화합니다. 올해 아세안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와 APEC 의장국인 한국이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 협력의 중심축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 대통령의 기고문은 "민주 대한민국"이 세계 질서 변화 속에서 실용적이고 책임있는 역할을 하는 글로벌 파트너로 성장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한-말레이시아, 한-아세안 전략동반자 관계를 기반으로 평화, 혁신, 희망의 미래를 함께 열어가자는 비전과 정책적 의지를 명확히 담아냈다
pcjay@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