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위, 노동권 강화와 사회 보장권 확대 목표
주거 불안 해소·청년 삶의 질 보장 방안 등 논의
한국노총 청년위원회 33명 구성…1기 첫 시작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기성세대 노동자가 주축이었던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에 처음으로 2030 세대를 주축으로 하는 청년위원회가 출범했다. 이에 따라 그동안 기성세대가 중심이 되어 노동 현안에 집중해 온 한국노총이 앞으로는 청년 관련 노동 과제에도 힘을 실을지 주목된다. 청년위는 첫 과제로 청년들의 노동권 강화와 사회보장권 확대를 제시했다.
한국노총 청년위원회가 24일 출범하고 33명의 청년위원회를 결성했다. 청년위원회 부위원장이자 위원장 직무대행을 맡은 한다스리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노동조합 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노총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출범식에서 "분산된 목소리로는 청년을 대표할 수도, 대안을 제시할 수 없다"며 "청년위원회는 파편화된 청년 목소리를 모아 현실적 대안을 제시하는 '아고라'가 돼 청년의 미래를, 노동 운동의 미래를 밝힐 것"이라고 밝혔다.
![]() |
|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24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노총 대회의실에서 '한국노총 청년위원회 출범식 및 포럼'이 진행되고 있다. 2025.10.24 aaa22@newspim.com |
그는 "교육 수준과 취업 상태가 다르고 경제적 배경이 다른 다양한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지만 현재도 미래도 희망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공통점을 가진 세대가 지금의 청년 세대"라며 "청년은 객체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중요한 의사결정 과정에 있어서 허울에 불과해서도 안 되기에 목소리를 높이는 주체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한국노총 청년위원회 출범식 외에도 토론회와 포럼 등이 진행됐고 청년 실업률 증가와 인공지능(AI) 시대의 일자리 전환, 주거 불안정 문제 등이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이어진 지정 토론에는 김승길 전국청년정책네트워크 대표, 황광훈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 장진희 한국노총중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참여해 청년 노동 정책의 방향과 출범 이후 한국노총 청년위원회의 역할과 방향에 대해 제언했다.
이들은 청년의 사회 참여 확대와 정책 결정 구조 내 실질적 반영을 위한 제도적 기반 구축 등을 논의했다. 청년 정책 비전과 과제는 ▲노동권 기반 강화 ▲사회정책 결합 강화 ▲보편정책과 맞춤 정책 병행 ▲참여와 연대의 거버넌스 ▲지역 정착 및 공동체 기반 강화 등이 제시됐다.
조은주 리워크연구소 대표는 "디지털 전환과 초고령화 등 복합 위기 속에서 청년 노동 현실은 불안정성과 사회보장 사각지대가 심화되고 있다"며 "노동과 복지, 주거, 금융, 건강, 권리가 연결된 청년 삶의 보장 사회가 실현돼야 한다"고 말했다.
![]() |
|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24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노총 대회의실에서 열린 '한국노총 청년위원회 출범식 및 포럼'에서 참석자들이 단체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2025.10.24 aaa22@newspim.com |
주요 과제로는 ▲주거 불안 해소 ▲금융·자산 형성 ▲사회보장 사각지대 해소 ▲'떠나는 청년'이 아닌 '머무는 청년'의 삶 구현(지역 정착) ▲'정책의 대상'에서 '주체'로 청년의 위치 전환(참여·거버넌스) 등이 제시됐다.
김승길 전국청년정책네트워크 대표는 청년의 노동을 '액화 노동'으로 표현했다. 그는 "청년 노동자들이 노동시장의 일부 현상으로 주목되는 데 그쳐선 안된다"며 "전통적 청년 노동 정책의 새로운 변화가 필요하다. 의견 수렴에 그치지 말고 권한을 이양받아 이를 결정하는 힘이 되는 참여가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들 청년위원회를 향한 기대의 시선도 함께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청년 노동자는 언제나 현장을 지켜온 노동운동의 주역이었다"라며 "청년위원회는 노동조합 내에서 청년 문제를 의제화하고 노동자의 권익을 지키는 것을 넘어 미조직 청년 노동자들의 목소리까지 포용하는 조직이 돼야 한다"고 했다. 이어 "한국노총이 새로운 세대를 대표해 미래를 향해 도약할 수 있게 교두보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모경종 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전국청년위원장인 축사에서 "청년 노동자의 불안정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 정치와 노동이 함께 머리를 맞대야 한다"라며 "한국노총 청년위원회가 노동운동의 전통 위에 새로운 세대의 비전을 더하는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aaa2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