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우수기술 설명회' 개최
협력사 대상 신기술 교류·R&D 지원 확대
특허 무상이전·ESG 펀드로 상생 강화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삼성전자가 지난 15일 경기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COMPA), 지식재산처 산하 한국특허전략개발원(KISTA)과 함께 '2025 우수기술 설명회'를 열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협력회사의 미래 성장동력 발굴과 신기술 확보를 지원하기 위한 자리로, 지난 2009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23년부터 COMPA, KISTA, 협성회(삼성전자·삼성디스플레이 협력회사 협의회)와 '산·학·연 기술협력 생태계 강화'를 위한 협약을 맺고 행사를 확대하고 있다.
![]() |
지난 15일 경기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2025 우수기술 설명회'에서 삼성전자 관계자와 협력회사 참석자들이 특허 무상 이전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
올해 설명회에는 104개 협력회사 경영진과 연구원, 45개 기술협력기관 등 250여 명이 참석했다. 주제는 협력회사 기술 수요 조사를 반영해 ▲인공지능(AI)과 스마트제조 ▲기술 보호 ▲산업 안전으로 구성됐다. 협력사들은 기술 설명회를 통해 신기술을 확보하고 정부의 다양한 연구개발 지원 제도를 안내받았다.
행사는 삼성전자와 중소벤처기업부의 특강으로 시작됐다. 삼성전자는 'AI 기반 생산성 혁신 사례'를 주제로 소프트웨어 개발 전 과정에 사내 AI 코딩 어시스턴트를 적용한 사례와 AI 상담봇을 활용한 글로벌 콜센터 자동화 사례를 소개했다. 중기부는 '중소기업 기술보호 강화 정책과 지원 제도'를 주제로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과 보호체계 강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현장에서는 산업 전반의 화두인 AI, 로봇, 스마트제조 기술과 차세대 소재·공정·환경 기술 등 111건의 우수기술이 공개됐다. 이 중 20건은 직접 발표를 통해 소개됐다. 서울시립대의 '신축성 변형 센서와 연동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카이로스랩의 'AI 기반 차세대 반도체용 신소재 개발 플랫폼', 서울대의 '고대역폭메모리(HBM) 반도체 패키지 방열 구조 설계', 한양대의 '이온젤 기반 신축성 에너지 저장장치 슈퍼커패시터' 등 다양한 기술이 눈길을 끌었다.
삼성전자는 현장에서 중소기업을 위한 맞춤형 상담 부스를 운영했다. 디스플레이·모바일·가전·통신·네트워크 분야의 보유 특허 253건을 무상 이전하고, 협력사 대상 ESG 펀드 상담도 진행했다. 삼성전자는 2015년부터 2300여 건의 특허를 무상 개방해 왔으며, 지난해부터는 '협력회사 ESG 펀드'를 조성해 환경 안전 개선과 에너지 절감 투자를 위한 무이자 대출을 제공하고 있다.
![]() |
지난 15일 경기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2025 우수기술 설명회'에서 삼성전자 김영상 상무가 특강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
COMPA와 KISTA는 정부 연구개발 지원 프로그램을 소개했고,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과 KB국민은행은 기술자료 임치제와 기술금융 상담을 진행했다.
엄재훈 삼성전자 상생협력센터장은 "우수기술 설명회는 협력사와 정부, 연구기관이 함께 기술혁신의 길을 모색하는 상생의 장"이라며 "삼성전자는 협력사들이 산·학·연 협력을 통해 AI와 스마트제조 중심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병국 COMPA 원장은 "공공연구성과와 산업 현장을 연결하는 실질적인 기술 사업화의 장이 되길 기대한다"며 "기업의 요구에 맞춘 수요자 중심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윤병수 KISTA 원장은 "지식재산 기반의 우수 기술이 산업 성과로 이어지길 바라며, 산·학·연의 기술활용 생태계를 지속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