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논문·인력 전 부문 최고 성과
네이버·LG 뒤이어...글로벌 빅테크와는 격차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삼성전자가 국내 기업 가운데 인공지능(AI) 관련 전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며 독보적 경쟁력을 입증했다. 네이버와 LG도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글로벌 빅테크와의 격차는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10일 국내 AI 관련 특허와 논문 실적 상위 191개 기업을 종합 평가한 결과 삼성전자가 600점 만점으로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AI 강국 도약을 목표로 프로젝트가 추진되는 상황에서 국내 기업의 경쟁력 점검 차원에서 진행됐다.
![]() |
[사진=CEO스코어] |
삼성전자는 특허 등록 1079건, 특허 피인용 1347회, 논문 등재 59건, 논문 인용 315회, AI 기술인력 5만872명, 전공인력 2만8058명 등 모든 항목에서 최상위권 성과를 올렸다.
네이버는 논문 25건 등재와 247회 인용을 기록하며 학술 분야에서 강점을 보였다. AI 관련 특허 204건과 2000명 이상 인력을 확보하며 국내 인터넷 기업 중 가장 높은 경쟁력을 증명했다. LG는 특허 400건, 논문 19건을 발표했고, AI 연구를 담당하는 LG AI연구원과 LG전자의 역량을 합산해 평가됐다.
이어 크래프톤, KT, 쿠팡, 현대차, 삼성SDS, SK텔레콤, 스트라드비젼 등이 10위권에 포함됐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에서 삼성전자가 압도적인 성과를 보였고, 인터넷·플랫폼 분야에서는 네이버가 두각을 나타냈다. 통신업에서는 KT가 학술 성과에서, SK텔레콤이 특허와 인력 부문에서 강세를 보였다.
게임업계에서는 크래프톤이 논문 12건을 등재하며 연구 역량을, 엔씨소프트는 특허 19건으로 기술력을 보여줬다. 바이오 업종에서는 루닛과 뷰노가 특허 경쟁력을 주도했고, 에이아이트릭스가 논문 10건으로 학술 부문에서 성과를 냈다.
그러나 글로벌 기업과의 격차는 뚜렷했다. 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 건수에서 구글은 820건으로 1위를 기록했고, 마이크로소프트 414건, 메타 385건, 아마존 273건 순이었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59건·12위), 네이버(25건·30위), LG(19건·40위)만 50위 안에 들었다. 논문 인용 기준으로는 삼성전자와 네이버만이 50위권에 포함됐다.
CEO스코어는 "국내 기업이 AI 투자를 강화하고 있지만 글로벌 경쟁력은 아직 부족하다"며 범국가적 차원의 정책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