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혁신 정치학교'로 변경
당지도부와 불필요한 갈등 피하려는 듯
[서울=뉴스핌] 지혜진 기자= 친명(친이재명) 최대 외곽 조직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혁신회의)가 내년 6·3 지방선거 출마 예정자를 대상으로 운영하는 '이재명 정치학교'의 이름을 '더혁신 정치학교'로 변경하기로 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지도부 요청에 따른 결정이다.
1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혁신회의는 지난달 28일 개강한 정치학교의 이름을 '더혁신 정치학교'로 바꾸기로 했다. 당 지도부는 행사 직전 혁신회의 측에 이름을 바꿔달라는 요청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직 대통령의 이름이 사용되는 게 부담스럽다는 취지에서다. 이에 혁신회의는 이재명 대통령의 이름을 빼되, '이재명 혁신정치 배움터'라는 부제를 활용하기로 했다.
![]() |
이재명 정치학교 홍보물. [사진=더민주전국혁신회의] |
민주당은 지난달 29일 혁신회의를 겨냥한 공문을 전국 17개 시·도당위원장과 지역위원장에 보냈다. 혁신회의가 운영하는 정치학교와 관련한 경고성 공문이다. 박영중 당 조직국장 명의로 "최근 당 외곽에서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개별 단체들이 정치학교 등의 이름으로 지방선거 관련 유료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정황이 확인됐다"며 "해당 프로그램은 중앙당과 어떤 관련도 없이 진행되는 것으로 공천 프로세스(과정)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못할 것이며 경력 또한 사용할 수 없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혁신회의는 입장문을 통해 "이재명 정치학교는 지난 8월 6일 집행위원회의에서 정치학교 기획안을 공유하며 당의 공식 교육이 아니므로 '경력으로 사용할 수 없음'을 공지했다"며 "혁신회의는 당조직도 아니고, 공천에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고, 그런 의사와 노력도 없다"고 해명했다. 유료 프로그램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타 정치학교 대비 50~70% 정도 저렴한 금액"이라고 반박했다.
혁신회의로서는 당 지도부와 불필요한 신경전을 피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당 지도부가 외곽조직까지 단속하는 데에는 내년 6·3 지방선거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혁신회의는 정치학교를 통해 지방선거 출마자 1000명을 양성하는 게 목표인데, 내년 전당대회를 통해 당대표 연임을 생각하는 정청래 대표로서는 견제할 수밖에 없는 것.
혁신회의는 지난해 총선에서 35명의 국회의원을 배출한 바 있다. 선거 이후 가입한 의원 수까지 합하면 현역 의원 수가 41명에 달한다.
한편 지난 28일 입학식에는 '이재명의 동지'로 불리는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을 비롯해 김병기 원내대표가 참석해 축사를 했다. 이후 강연자는 전현희·황명선 최고위원, 추미애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등이 예정됐다.
heyj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