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 한 통으로 영농일지 자동 작성하는 'AI 콜' 서비스 도입
병해충·기상 알림, 농약 추천 제공…농민 편의·생산성 강화
한국 토양·기후 데이터 기반 맞춤형 AI, 정부 정책·작황 분석 기여 기대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네이버클라우드가 미래농업 기업 대동과 손잡고 '농업 AI 에이전트' 개발을 추진하며 산업별 AI 에이전트 생태계 조성에 본격 나섰다.
25일 네이버클라우드는 대동과 농업 AI 에이전트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은 네이버클라우드가 추진하는 AI 에이전트 생태계 구축 프로젝트의 첫 사례로, 농업에서 출발해 제조·금융·교육·의료 등으로 확장한다는 전략이다.
양사는 농업 특화 AI를 개발해 농민들이 데이터 기반 정밀 농업을 직접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 첫 단계로, AI가 정기적으로 농민에게 전화를 걸어 작업 내용을 묻고 영농일지를 자동 작성해 주는 'AI 콜' 서비스를 도입한다. 이 서비스는 보조금 신청에 필요한 기록을 쉽게 확보할 수 있게 하고, 병해충 정보와 농약 추천, 기상·재해 알림까지 제공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영농을 돕는다.
![]() |
왼쪽부터 원유현 대동그룹 부회장과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사진=네이버클라우드] |
네이버의 음성 인식과 자연어 처리 기술은 지역 사투리까지 인식해 고령 농민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향후 드론 영상, 센서 데이터와 연계해 생산량 확대·비용 절감·품질 개선 효과를 높여 농가 소득 향상으로 이어간다는 구상이다.
또 양사는 국내 토양·기후·작물 특성 데이터를 안전하게 학습해 맞춤형 AI를 제공, 장기적으로는 과거 영농일지와 정부 데이터를 토대로 AI 기반 농작업 처방 서비스까지 확대해 이를 농업 AI 에이전트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이번 협력을 시작으로 모두가 자신만의 AI 에이전트를 활용하는 시대를 열겠다"며 "국가대표 AI 프로젝트의 핵심 방향을 실현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양사는 올해 하반기 실제 농가와 지자체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을 거쳐 내년부터 상용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어 농기계·농용 로봇을 위한 엣지 AI 모델 등 피지컬 AI로 확장하는 단계적 로드맵도 추진할 계획이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