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주 전 비서실장은 별도 소환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김건희 여사 관련 금품 제공과 교단 자금 로비 의혹의 핵심 인물로 지목된 한학자 통일교 총재가 구속된 지 하루 만에 특검 조사실에 모습을 드러냈다.
김건희 특검팀은 24일 오후 3시부터 약 5시간 동안 정치자금법 위반, 청탁금지법 위반, 업무상 횡령, 증거인멸교사 혐의를 받는 한 총재를 상대로 조사를 진행했다.
한 총재는 서울구치소에서 호송차에 올라 이날 오후 3시 15분께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웨스트에 도착했다. 구속 전 피의자 심문 때와 마찬가지로 휠체어를 탄 채 조사실을 향한 것으로 전해졌다.
![]() |
사진은 한 총재가 지난 2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영장실질심사(구속 전 피의자 심문)를 마치고 법정을 나서는 모습. [사진=최지환 기자] |
한 총재 측 변호인단은 조사 직후 취재진과 만나 대선 직전 '특별지시 프로젝트' 명목으로 100억원대 자금을 모았다는 보도에 대해 "정치자금 범죄에는 미수범 개념이 없다"고 반박했다.
이날 특검은 한 총재와 함께 로비 공모자로 지목된 정원주 전 비서실장도 불러 조사했지만 두 사람 간 대질 신문은 이뤄지지 않았다.
특검은 한 총재가 전직 간부들에게 지시를 내리고 건진법사 전성배 씨와 공모해 각종 현안을 청탁했다고 보고 있다.
특히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이 전 씨를 통해 지난 2022년 4~7월 김 여사에게 6220만원 상당의 그라프사 목걸이, 2073만원짜리 상당 샤넬 백 2개, 천수삼 농축차를 전달한 배경에 한 총재가 있다는 게 수사팀의 결론이다.
또 특검은 윤 전 본부장의 진술과 다이어리 등을 근거로 한 총재가 2022년 1월 권 모 의원에게 불법 정치자금 1억원을 건넨 것으로 파악했다.
교단 자금을 '정교일치' 실현의 수단으로 삼아 현안을 해결하려 했고, 원정 도박 수사 정황이 불거지자 윤 전 본부장에게 증거인멸을 지시했다는 혐의도 적용했다.
이에 특검은 지난 18일 소환 직후 한 총재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고, 법원은 증거인멸 우려를 이유로 지난 19일 새벽 1시 30분께 영장을 발부했다.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