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내란 특별검사(특검)의 소환에 응하지 않기로 했다.
박지영 특검보는 23일 정례 브리핑에서 "현재까지 윤 전 대통령에 대해 불출석 사유서가 제출된 것은 아직 없다. 다만 구두로 윤 전 대통령이 구치소 담당자에게 불출석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 |
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뉴스핌 DB] |
앞서 특검은 윤 전 대통령에게 '평양 무인기 투입 작전' 등 외환 의혹과 관련해 오는 24일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하라고 통보했고, 윤 전 대통령 측은 지난 20일 입장문을 내고 "(외환 사건에) 선임되지 않은 변호사에게 문자로 통지가 이뤄졌다"며 반발했다.
이어 "소환일 다음날인 25일은 내란우두머리사건 공판, 26일은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신건 첫 공판이라 변호인들이 한창 재판에 투입돼 급박하게 준비 중인 상황"이라며 "아무 논의 없이 일방적인 소환 통보를 선임되지 않은 변호사에게 하는 건 몹시 부당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박 특검보는 "아무런 추가 설명 없이 출석하지 않겠다는 말만 구두로 전달돼 정확한 취지를 알 수가 없다"며 "변호인단에서 정식으로 사유를 제출하거나 의미 표명을 해주지 않으면 불출석 의사로밖에 인지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최종적으로 내일 실제 불출석하는지를 보고 추후 재소환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며 "윤 전 대통령이 현명한 판단을 할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부연했다.
한편 평양 무인기 투입 의혹은 윤 전 대통령이 지난해 10~11월 드론작전사령부(드론사)에 평양 등 북한에 무인기를 보낼 것을 지시했다는 내용이다. 특검은 당시 작전이 비상계엄 선포 명분을 만들기 위한 것은 아닌지 등을 들여다보고 있다.
그동안 특검은 군 관계자들을 연이어 불러 조사하고 전날에는 서울동부구치소를 방문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도 조사했다. 단 김 전 장관은 대부분 진술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hyun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