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클라우드 실적 호조에 투자심리 자극 중
* 'AI MY 뉴스'가 제공하는 AI 어시스턴트가 답한 내용으로, 퍼플렉시티 AI 모델이 적용됐습니다. 상단의 'AI MY 뉴스' 로그인을 통해 뉴스핌의 차세대 AI 콘텐츠 서비스를 활용해보기 바랍니다.
질문 : 오늘 뉴욕 증시 개장을 앞둔 프리뷰와 함께 이와 연계된 글로벌 금융시장의 상황도 함께 알려줘.
[세종 = 뉴스핌] 이경태 기자 = 오늘 뉴욕 증시 개장을 앞두고, 미국 선물시장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 수요에 힘입은 오라클의 '깜짝' 클라우드 실적 발표로 나스닥과 S&P500 선물은 상승 중이지만, 다우존스 선물은 소폭 하락하고 있습니다. 시장의 초점은 오늘 밤 발표될 미국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와 내일 예정된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맞춰져 있으며, 연방준비제도Fed의 9월 금리 인하 기대감이 여전히 강하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 |
오라클 로고 [사진=블룸버그통신] |
구체적으로, 한국시간 9월 10일 오후 9시 20분 기준 S&P500 E미니 선물은 전장 대비 +0.35% 상승, 나스닥100 선물도 +0.33% 오르고 있으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DJIA 선물만 0.13% 하락세입니다. 오라클 주가는 AI 기반 클라우드 사업 호조로 시간외 거래에서 약 32% 폭등하며 투자심리를 자극했고, 엔비디아·GE버노바 등 AI 관련주들도 동반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시놉시스·케이던스디자인 등 일부 반도체 설계주들은 약세입니다.
글로벌 금융시장 상황을 보면, 전날 현지시간 기준 9일 뉴욕증시는 고용지표 부진과 이에 따른 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일제히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갔습니다. 다우는 +0.43%, S&P500는 종가 기준 최고치인 +0.27%, 나스닥 역시 신고가인 +0.37% 상승 마감했습니다. 미 노동부는 최근 고용통계 대폭 하향 조정지난해 비농업 신규 일자리 기존보다 약 91만개 적음을 발표했으며, 이는 경기 둔화 신호로 해석되어 금리 인하 전망을 강화시키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이번 FOMC에서 한 번에 최대 '50bp'까지 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관측까지 제기되고 있어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상존합니다.
글로벌 영향 및 국내외 파급 효과: 미국 증시 강세와 연준 완화 기조 기대는 아시아 및 유럽 주요국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코스피 역시 외국인 매수 유입 속에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글로벌 위험자산 랠리가 확산되는 모습입니다. 원/달러 환율 또한 달러 약세 영향으로 소폭 하락해 1386원대로 국내 금융시장 안정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 PPI·CPI 등 물가 지표 결과와 함께 지정학적 리스크미중 갈등 재부각 가능성, 미 대선 변수 등이 추가적인 불확실성 요인으로 남아있어 개장 후 변동성이 커질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합니다.
실행 가능한 전략 제언:
1. 오늘 밤~내일 새벽 발표되는 미국 PPI·CPI 결과에 따라 단기 방향성이 결정될 전망이므로 이벤트 직전 과도한 포지션 구축보다는 관망 또는 분할 접근 전략이 바람직합니다.
2. AI 관련주 중심의 기술주 랠리가 지속되고 있으나 밸류에이션 부담 및 차익실현 매물이 언제든 출회할 수 있어 분산투자가 필요합니다.
3. 글로벌 유동성 확대 국면에서는 신흥국 주식·채권시장에도 외국인 자금 유입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한국 포함 아시아 시장 비중 확대 검토가 합리적입니다.
4. 환율 측면에서는 달러 약세 구간 진입 시 해외투자 환헤지 여부 점검과 함께 원화강세 구간에서 국내 자산군 상대매력도가 부각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오늘 뉴욕증시는 AI 모멘텀과 연준 완화 기대 속 '강한 낙관론' 우위이나, 물가지표 이벤트 앞두고 경계심리가 공존하는 상황입니다. 글로벌 금융시장 전체에서도 위험선호 심리는 유지되지만 정책 변수와 지정학 리스크 관리가 필수임을 강조합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