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염 성능·연기 속도·유해가스 성분 안전성 검증
시연 결과로 전동차 설비·대응 매뉴얼 보완 추진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교통공사는 4일 지축차량기지에서 서울소방재난본부와 합동으로 전동차 객실과 실내 설비품 6종에 대한 화재 시연을 시행했다.
공사에 따르면 현재 신조 전동차 내 설비품(내장판, 단열재, 의자, 바닥재, 연결막, 손잡이)은 철도안전법(철도차량기술기준)에서 요구하는 화재안전 최우수등급(4등급) 조건을 만족하는 불연·난연 재질로 구성돼있다.
그러나 지난 5월 발생한 5호선 방화 사건 이후 승객 안전 확보를 위해 전동차 내장재의 방염 성능과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 확산 속도, 화재 온도, 유해가스 성분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봐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됐다.
![]() |
전동차 객실 화재 모의 시연 장면 [사진=서울교통공사] |
이에 공사는 최대한 실제 운행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전동차 안에 불을 붙여 내장재, 객실의자 등 주요 설비의 방염 성능 평가 등 화재 안전성 검증을 진행했다. 시연에는 5호선 화재 차량과 운행 상태 등이 유사한 폐차가 예정된 420편성 전동차를 이용했다.
시연은 ▲신조 전동차 실내 설비품(내장재 등 6종) 화재 안전성 검증 ▲전동차 객실 내 화재 상황 재현 ▲자연 소화 후 전동차 객실 내 상태 확인 등 세 가지 절차로 구성됐다.
서울소방재난본부 주관으로, 우선 설비품을 거치대에 고정하고 화염원(토치)을 20초간 방사해 연소 가능 상태 확인 등 화재 안전성을 검증했다. 이어서 전동차 객실 한 칸에 인화물질(2L) 살포 후 불을 붙여 연소시간을 비교하고 연기 확산 속도, 유해가스 성분, 화재 온도 등 확인 작업을 거쳤다.
앞서 공사는 화재 시연을 위해 지난 7월23일 서울소방재난본부와 '전동차·설비품 화재안선성 검증과 매뉴얼 보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양 기관은 협약을 통해 지하철 화재 시 유기적인 대응체계 구축과 적응성 있는 소화 물질 연구 등에 대해 협력을 강화한다.
또 안전하고 실효성 있는 시연 성과를 얻기 위해 지난 8월14일 사전 모의 시연을 하고 소방 관련 외부 전문가도 초빙했다. 외부 전문가는 화재 시연에도 참여했으며 전동차 객실 내 화재 발생 시 승객 대피 요령 등 매뉴얼 보완 등 효율적인 안전관리 방안에 대해 자문한다.
한편 공사는 이번 화재 시연 결과를 전동차 객실 설비 보완, 전동차·역사·터널 내 화재 대응 매뉴얼(승객 대피 포함), 소방 당국과 합동 대응체계 구축 등 안전대책에 반영할 예정이다. 시연 과정 중 발견된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은 체계적으로 분석해 향후 전동차 설계·제작 시 보완 사항을 반영한다.
백호 공사 사장은 "화재 시연은 실제로 운행 중인 전동차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혹시 모르는 위험을 검증하고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라며 "실험 결과를 토대로 매뉴얼과 설비품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어떤 상황에서도 안전한 지하철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