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뉴스핌] 남효선 기자 = 유례없는 폭염이 한반도를 뒤덮고 있다. 늦은 봄부터 찾아온 불볕더위가 '여름이 그친다'는 처서(處暑)를 지나 '흰 이슬이 내린다'는 백로(白露)를 앞둔 9월 초순에도 기세가 등등하다.
농어업 중심 전통사회에서 생업의 순서를 정해주던 절기(節氣)도 계절도 모호하다. 절기에 맞춰 씨앗을 뿌리고 거름을 내며 낟알을 거두고, 종내 가늠할 수 없는 푸른 바다의 물때에 맞춰 그물을 던지고 거두던 생업은 이미 무색해진 지 오래다.
기후 변화는 우려와 위기를 넘어 우리 곁으로 바투 다가와 일상을 옥죄고 있다.
오곡이 무르익는다는 가을이 어느 순간 주위에서 사라진 듯하다.
그래도 자연은 시절에 맞게 옷을 갈아입을 채비를 서두른다.
폭염 속에서도 만개했던 꽃들은 씨방을 부풀리고 씨앗을 사방으로 내보낸다. 내일의 생명을 잉태하기 위해서다.
![]() |
하늘에서 내려다 보는 동해안 어업전진기지인 경북 울진 죽변항[사진=울진군] 2025.09.02 nulcheon@newspim.com |
울진은 한걸음을 달리면 바다를 만나고 한걸음 내디디면 산야를 만나며, 한걸음 내달리면 자연이 빚은 천연 온천을 품은, 전국 유일의 '삼욕(三浴)의 고장'으로 유명하다.
전국 어디에도 울진처럼 자연의 혜택을 온몸으로 받은 곳은 없다. 때문에 울진군은 민선 8기에 들어 울진의 청정함을 '대한민국의 숨'으로 내세우고 관광 브랜드화했다.
울진의 가을은 부드럽다. 속이 환하게 들여다보이는 에메랄드빛 바다가 그렇고, 금강소나무를 품은 산야가 그렇다.
사람들은 이들 자연에 문화라는 옷을 입혔다.
![]() |
관동팔경의 정수인 경북 울진군 평해읍 월송정 솔밭길.[사진=울진군]2025.09.02 nulcheon@newspim.com |
◇ 200리 울진 해파랑길은 곡진한 삶이 빚은 생명의 길
'해파랑길'은 '동해를 박차고 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길동무 삼아 걷는다'는 뜻을 지닌 '부산 오륙도 해맞이 공원에서 강원도 고성 통일전망대'에 이르는 10개 구간 50개 코스를 지닌 770km의 '걷기 길'이다.
이 중에서도 동해안의 절경과 역사와 문화를 오롯이 간직하고 있는 '117km, 200리의 울진 구간'은 청람빛 바다와 동해로 치닫는 강과 이를 터전으로 삶을 일궈 온 갯사람들의 곡진한 삶의 이야기가 담겨 있는 최고의 '생명의 길'이다.
울진군의 남쪽 관문이자 울진대게와 붉은대게의 주산지 후포항에서 '전국 최고의 자연산 미역' 주산지인 북면 고포(姑浦, 할무개)포구까지 푸른 파도 소리를 들으며 이어지는 200리 해안길은 '님을 만나는 설렘으로 울렁거리는' '수로부인의 연정의 길'이다.
![]() |
'대한민국의 숨' 경북 울진군 기성면 망양리 해변.[사진=울진군] 2025.09.02 nulcheon@newspim.com |
◇ 님을 만나는 설렘으로 울렁거리는 '수로부인 연정의 길'
울진의 북쪽 관문이자 해산물의 보고이자 동해안 어업 전진기지인 죽변항의 옛 이름은 '죽진(竹津)'이다.
낙동정맥이 동쪽으로 뻗어 이룬 동해안 천혜의 항구이다.
죽변항을 에돌아 감싸고 있는 죽변곶 일대에는 청동기 시대 유물인 패총무지의 원형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 |
동해안 어업전진기지인 경북 울진 죽변항을 품은 대가실 해변[사진=울진군] 2025.09.02 nulcheon@newspim.com |
또한 삼국 시대 당시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축조한 죽변성 유적과 당시 사용했던 '전죽(箭竹; 대화살촉을 만든 시누대의 일종) 숲'이 해풍을 머리에 이고 군락지를 이루고 있다.
몇 해 전 죽변등대 구릉 일대에서 8,000년 전 신석기 시대 초기 '노'와 '목재선박 목편'이 발견돼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울진 죽변항 일대가 동해 연안 고대사의 단초를 제공해주는 중요한 역사고고학적 유적지임이 확인된 것이다.
지난 2010년 발굴 당시 출토된 목재 유물은 8,000년 전 신석기 시대 초기(BC 5,500년 전)에 낚시 도구를 싣고 물고기잡이에 쓰인 '목재선박'과 '노(櫓)'로 확인됐다.
![]() |
동해안 어업전진기지인 경북 울진 죽변항을 품은 대가실 해변의 해파랑길[사진=울진군] 2025.09.02 nulcheon@newspim.com |
◇ 동해안 어업 전진기지 죽변항.... 대가실 해안은 '용의 꿈길'
'전죽' 숲은 "왜구 퇴치를 위해" 고려 시대에 조성한 군사용 대숲이다.
울진군은 전죽 군락지인 '대숲길'의 원형을 그대로 살리고 '용의 꿈길'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죽변등대를 품고 해안 절벽을 끼고 조성된 하늘을 덮은 대숲길에 들어서면 세상은 고요하고 오로지 절벽을 부딪치는 푸른 파도 소리뿐이다.
동국여지승람에는 전죽이 울진 지방의 특산물로 기록되어 있어, 이 군락지인 '대가실(죽변항 북동쪽 나들목)'은 국가적 요충지이자 외세 저항의 역사적 현장임을 보여준다.
![]() |
동해안 어업전진기지인 경북 울진 죽변항을 품은 대가실 '하트해변'[사진=울진군] 2025.09.02 nulcheon@newspim.com |
전죽(箭竹) 숲을 돌아 나오면 '드라마 세트장'과 '하트 해변'을 품고 있는 '죽변 대가실' 마을을 만난다.
대가실 마을 '하트 해변'은 청람빛 바다의 속살을 그대로 보여주는 울진 바다의 정수이다.
두 발을 담그면 청람빛 바다가 금세 온몸을 물들이듯 가슴 속엔 어느새 울진의 바다가 출렁인다.
건듯 부는 바람 속으로 '죽변항 스카이레일'이 흰 포말이 부숴지는 파도 위를 느린 속도로 지나간다.
몇 해 전 첫선을 보인 '죽변항 스카이레일'은 동해안 어업 전진기지인 죽변항과 봉개포구(봉수동, 烽燧洞), 후정해수욕장을 잇는 '바다 위 레일'이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도 외지 관광객들의 발길이 이어진 죽변항의 관광 명소이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