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우주까지 아우른 전방위 연합연습
북·중·러 밀착 반영한 시나리오…'방어적 훈련' 재확인
전작권 전환 '조건 충족' 원칙 명확화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지난 18일부터 오는 28일까지 진행 중인 을지프리덤실드(UFS) 훈련은 단순한 연합훈련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북한의 도발은 물론 드론, 사이버, GPS 교란, 우주·전자기전 등 새로운 전장을 포괄하는 '실전형 연합태세'를 점검하고 75년을 맞은 한미 군사동맹의 미래 나아갈 방향을 가늠하는 기회이기도 하다.
윌리엄 라이언(육군 소장) 한미연합군사령부 작전참모부장은 22일 뉴스핌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한미동맹은 어떠한 침략도 억제할 준비가 돼 있으며 필요 땐 단호히 대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라이언 소장은 "연합방위태세의 초점은 수적 규모가 아니라 능력(capabilities over numbers)"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최근 제이비어 브런슨(육군 대장) 한미연합군사령관(주한미군사령관·유엔군사령관)이 한국 언론 인터뷰에서 밝힌 메시지와도 일맥 상통한다. 병력의 숫자가 아닌 지휘통제(C4I)와 상호운용성, 정보감시정찰(ISR) 공유 능력이 동맹의 억제력을 뒷받침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분명히 했다.
![]() |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한미 연합 을지 자유의 방패(UFS) 연습이 진행되는 가운데 한미 군사동맹의 최일선에 서 있는 윌리엄 라이언(육군 소장) 한미연합군사령부 작전참모부장이 22일 뉴스핌과 단독 인터뷰에서 'UFS25' 연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한미연합사] 2025.08.22 parksj@newspim.com |
라이언 소장은 "실사격·지휘소·야외 기동훈련을 결합해 전 영역 위협에 대비하고 있다"며 "사이버와 우주까지 포함하는 전방위 연습을 통해 동맹의 전투준비태세를 숙달하고 있다"고 이번 UFS에 대해 설명했다. 일부 야외기동훈련(FTX)이 홍수와 폭염 등으로 9월로 조정됐지만 라이언 소장은 "이는 이례적 상황이 아니며 대비태세에 어떠한 영향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북한이 해마다 한미 연합 훈련과 연습을 "핵전쟁 예행연습"이라며 비난하는 데 대해 라이언 소장은 "모든 전문 군대는 훈련을 한다. 이번 연습은 본질적으로 방어적 성격을 지니며, 중립국감독위원회 참관 속에 정전협정을 준수한다"고 다시 한번 방어적 성격임을 강조했다. 북한의 선전전에 대응해, 동맹 차원에서 '방어적 훈련'이라는 메시지를 분명히 헀다.
최근 북한과 중국, 러시아 간 군사 협력 밀착의 변화된 안보 지형도 이번 연습에 실질적으로 시나리오에 반영됐다. 라이언 소장은 "구체적 내용은 밝힐 수 없지만, 연습은 오판을 방지하고 현실적 위협을 반영하도록 설계됐다"며 "동맹이 침략을 억제하고 필요할 경우 적을 격퇴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
한미 간 전시작전통제권(OPCON) 전환 조건도 평가한다. 라이언 소장은 "전환은 조건 충족 때 시행한다는 원칙이 확립돼 있다"며 "이번 연습에서 한국군 역량에 대한 공동 평가가 이뤄진다"고 말했다. 전작권 전환은 정치적 일정이나 판단이 아니라 '조건 충족'이라는 군사적 요건이 핵심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명확히 했다.
현재 한미 간의 연합 훈련과 연습은 75년을 맞은 한미 군사동맹의 지속성과 진화가 굳건히 자리잡고 있다. 라이언 소장은 "오늘날의 안보 환경은 75년 전과 크게 다르다"며 "전략적 조정은 유능한 양국의 군대가 현재와 새로운 도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접근 방식을 조정·발전시키는 미래지향적 노력"이라고 설명했다. 동맹이 단순히 북한 억제에 머무르지 않고 인도-태평양 전략 환경 속에서 기민하게 대응하는 구조로 발전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주한미군 감축과 방위비 분담 논란 속에 주한미군의 한반도 방어라는 핵심 목표를 분명히 했다. 라이언 소장은 "방위비는 양국 협정을 통해 다뤄지고 있다"며 "주한미군 규모와 관련된 가정적 시나리오는 언급하지 않겠다"고 말을 아꼈다. 다만 라이언 소장은 "동맹의 초점은 강력하고 전진 배치된 연합 전력을 유지하고 한반도를 방어하고 침략을 억제하며 역내 안정을 보장하는 데 있다"고 한반도 방어를 다시 한번 강조했다.
올해 창설 75주년을 맞은 유엔군사령부(UNC)도 주목된다. 라이언 소장은 "UNC는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래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를 지켜왔다"며 "UFS25를 통해 18개 회원국이 연합 방위체계에 참여하면서 국제사회의 지지와 결속을 재확인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라이언 소장은 이번 인터뷰를 통해 한미 군사동맹의 억제력은 병력 숫자가 아니라 변화하는 전장을 따라잡을 수 있는 능력과 상호운용성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명확히 했다. UFS25는 단순한 훈련이 아니라 그 능력을 검증하는 시험대다.
동시에 75년된 한미 군사동맹의 유지와 변화, 발전이라는 과제를 동시에 안겨준다. 전진 배치된 전력을 유지하면서도, 북·중·러 협력이라는 새로운 위협에 맞게 기민하게 진화해야 한다. 라이언 소장이 반복해서 강조한 "조건 충족" "능력 중심"이라는 표현은 향후 주한미군과 한미 군사동맹의 방향성을 보여준다.
한반도 안보 구조는 여전히 불확실성에 둘러싸여 있다. 하지만 올해 UFS25가 던지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훈련은 방어적이지만 대응은 단호하며 동맹은 흔들리지 않는다"는 강력한 메시지다. 이는 75년 전 맺어진 약속이 여전히 유효하며, 동시에 새로운 세기를 향해 진화하고 있음을 알리는 선언이기도 하다.
parksj@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