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0회 방추위 개최… 미국산 해상작전헬기 '시호크' 추가 구매
전투용 무인수상정은 국내 연구개발… 고속상륙정 배치-Ⅱ도 확보
[서울=뉴스핌]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 한국형 전투기 KF-21 보라매의 공대지미사일 발사 능력 확보 시기가 1년 반 이상 단축될 전망이다. 방위사업청은 8일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제170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한국형 전투기 체계개발기본계획 수정안을 가결했다고 밝혔다.
![]() |
2022년 7월 19일 초도 비행을 위해 이륙하는 KF-21 보라매 시제1호기. [사진=방위사업청 제공] 2025.08.08 gomsi@newspim.com |
한국형 전투기 체계개발은 F-4와 F-5 등 수명이 다한 전투기 도태에 따른 부족 소요 보충과 미래 전장 운용개념에 부합하는 성능을 갖춘 전투기를 확보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8조8142억 원이고, 사업 기간은 2028년까지다. 이날 방추위에서 KF-21 공대지 무장능력 확보를 위한 추가 무장시험 계획이 승인됨에 따라 한국형 전투기의 공대지 능력이 애초 계획한 2028년 말에서 2027년 상반기로 조기 확보될 수 있게 됐다. 방사청은 "우리 군의 공중 전력 강화는 물론 항공산업의 경쟁력 증대와 방산 수출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날 방추위에선 ▲해상작전헬기-Ⅱ 구매계획 ▲전투용 무인수상정 사업추진기본전략 ▲고속상륙정(LSF-Ⅱ) 배치-Ⅱ 사업추진기본전략 ▲리본 부교-Ⅱ 사업추진기본전략 등도 승인됐다.
![]() |
지난 6일 북한 잠수함과 수상함을 원거리에서 탐지 및 공격할 수 있는 최신예 해상작전헬기 MH-60R이 태극마크를 달고 국내 첫 비행을 시작했다. [사진=해군 제공] 2025.08.08 gomsi@newspim.com |
해상작전헬기-Ⅱ는 해군 함정에 탑재하는 노후 해상작전헬기 링스를 대체하는 전력을 해외 구매로 확보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3조 원 이상이며, 사업 기간은 2032년까지다. 대상 기종은 해상작전헬기 1차 사업 때도 구매했던 미국산 MH-60R 시호크로,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으로 구매가 이뤄질 예정이다. 방사청은 "이 사업을 통해 기존 노후 헬기 대비 체공 시간과 표적 탐지능력이 향상된 해상작전헬기를 확보하게 됐다"며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탑재 적 잠수함 등의 수중·수상세력 탐지와 신속 공격 능력이 향상될 것"이라고 했다.
전투용 무인수상정은 최근 전쟁에서 확인된 무인 체계의 유용성을 고려, 유도 로켓을 탑재하고 근접교전을 수행할 수 있는 무인수상정을 확보하는 사업이다. 방추위는 전투용 무인수상정을 국내 연구개발로 확보하기로 했다. 총사업비는 6094억 원이며, 사업 기간은 2036년까지다. 방사청은 "전투용 무인수상정은 향후 유인 함정과 유무인 복합전투체계를 구성해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전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고속상륙정 배치-Ⅱ는 적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바다(초수평선)에서 고속상륙돌격이 가능한 상륙정을 국내개발로 확보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9998억 원, 사업 기간은 2036년까지다. 이 사업을 통해 상륙작전 시 필수 전투 장비와 병력을 신속하게 해안으로 이송하고 경비작전하는 능력을 확보함으로써 상륙작전 수행 능력과 적의 수도권 서쪽 해역 침투 대응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리본부교-Ⅱ는 전차와 장갑차 등 육군 기동장비가 자체 능력으로 건널 수 없는 하천에 문교(ferry)나 부교(bridge)를 설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신형 도하장비 확보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9078억 원, 사업 기간은 2035년까지다. 노후화된 리본부교를 통과 하중과 차로 폭 증대 등 성능이 향상된 리본부교-Ⅱ로 대체하는 사업이다.
goms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