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내 자체·외부 서비스 연동 가능한 에이전트 준비
메시징 프로토콜 기반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 제공
"에이전트 중심 플랫폼 경쟁서 우위 확보할 것"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카카오가 AI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카카오톡 내 다양한 공간에서 동작 가능한 에이전트를 통해 이용자 목적을 손쉽게 달성하는 구조를 설계하고 있으며, 향후 외부 파트너와의 연동도 확대할 방침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7일 열린 2025년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AI 에이전트가 메시징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카카오톡 내에서 자연스럽게 작동하며, 이용자의 맥락을 이해하고 필요한 액션을 제안하는 구조를 구현 중"이라며 "향후에는 대화 속 요청이 톡 내에서 즉시 실행되는 완결형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하반기부터 카카오톡 내 일부 공간에서 자사 서비스와 연동된 AI 에이전트를 먼저 선보일 예정이다. 이후에는 보다 다양한 분야의 외부 파트너들과의 연동도 추진해, 서비스 범위를 넓혀간다는 계획이다.
![]() |
사진은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지난 2월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서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
카카오는 AI 모델 측면에서도 에이전트 특화 모델 라인업을 확장 중이다. 지난 5월 공개한 중형·경량 언어모델을 포함해, 올해 7월에는 멀티모달(Multimodal)과 전문가 혼합(MoE, Mixture of Experts) 모델 등을 공개하며 기술적 기반을 강화했다.
정 대표는 "카카오톡이 가진 강력한 메시징 네트워크와 에이전트 중심 AI 모델이 결합될 경우, 에이전트 AI 생태계 내에서 카카오보다 경쟁력 있는 플랫폼은 없을 것이라 자부한다"고 말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