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수 피해 광주 952·전남 469건
[무안=뉴스핌] 조은정 기자 = 광주와 전남에 사흘간 굵은 빗줄기가 몰아치면서 피해가 커지고 있다.
19일 광주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호우경보가 발효 중인 광주에서는 지난 17일 폭우로 인해 2명이 실종됐으나 아직까지 행방이 확인되지 않는다. 북구 신안동 신안교 인근에서 하천 급류에 휩쓸린 뒤 연락이 끊겼다는 등 신고를 접수하고 구조 당국이 수색 작업을 펼치는 중이다.
갑자기 쏟아진 빗물로 집에 머물기 힘들어 대피한 인원은 총 387명에 달한다. 인근 경로당이나 초등학교에 마련된 대피소로 몸을 피했으며 현재 절반 이상은 귀가한 상태다.
![]() |
[광주=뉴스핌] 조은정 기자 = 17일 오후 집중호우로 광주 북구 신안동을 흐르는 서방천이 범람하면서 인근 도로가 침수돼 차량과 주택 등이 물에 잠겨 있다. [사진=독자제공] 2025.07.17 ej7648@newspim.com |
도로나 차량, 건물이 침수되는 등 관련 피해는 총 952건이며 이 중 안전 조치는 724건이 이뤄졌다. 구별로 보면 서구가 232건으로 피해가 가장 컸고 뒤이어 남구 226건, 북구 194건, 광산 152건, 동구 148건이었다.
각 자치구에서 판단한 위험 지역 473곳에 대해서는 통제가 이뤄지고 있다.구체적으로 하상도로(하천가의 위쪽에 만든 도로) 16곳, 하천 진·출입로 336곳, 하천 둔치주차장 11곳, 하천 다목적광장 3곳, 세월교 4곳, 무등산탐방로 37곳, 야영장 7곳이다.
![]() |
침수된 상무역. [사진=광주시] 2025.07.17 hkl8123@newspim.com |
시내버스는 전체 102개 노선 810대 중 7개 노선 26대가 우회 운행 중이고, 광주송정에서 목포역 구간의 고속열차(KTX·SRT)와 호남선 전 구간의 일반열차는 모두 운행 중지됐다.
상무역이 한때 침수 됐지만 긴급 복구 작업이 이뤄져 전날부터 모든 지하철 노선 운행은 재개됐다. 항공편도 정상 운항 중이나 기상 상황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광주시는 비상 2단계 체제로 전환했으며 13개 부서 23명의 필수 요원이 재난 상황에 민첩하게 대응하고자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날 전남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전남에서는 도로·하천·저수지·문화재·상수도 등 공공시설 123곳이 비 피해를 입었다. 도로 옆 경사진 땅이 쓸려 내려가는 사면 유실과 포장 파손에 대해서 응급 복구 중이다. 범람을 막는 하천 제방(지방하천 14곳, 소하천 59곳)도 유실돼 추가 침수가 우려됨에 따라 긴급 조치에 나서고 있다.
![]() |
[광주=뉴스핌] 조은정 기자 = 17일 오후 집중호우로 광주 북구 신안동을 흐르는 서방천이 범람하면서 인근 도로가 침수돼 차량과 주택 등이 물에 잠겨 있다. [사진=독자제공] 2025.07.17 ej7648@newspim.com |
담양·함평·신안·나주를 중심으로 주택 469동이 침수됐으며 283동에 대해선 물을 이미 빼냈고 나머지 186동은 퇴수 작업 중이다.
벼 등 농작물 침수는 4732ha에 달하며 농경지 유실은 17.7ha다. 축산농가에선 오리 10만7000마리, 육계 7만8000마리 등 18만5000마리가 폐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산양식장(뱀장어·우렁이 등) 6개소에서는 피해 규모는 7000만원 정도다.
광양과 신안 함평에서는 선박 2척이 침수, 1척이 유실돼 1300만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전남도는 농업·축산·수산 등 피해 상황을 조사 후 재난안전기본법에 따라 지원을 추진한다.
ej764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