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립스틱 효과'를 넘어선 소비 트렌드의 진화
10만 원 미만 선글라스, '가심비'로 승부
[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소비자들 사이에서 '작은 사치'로 자신을 꾸미는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최근에는 부담 없는 가격대의 선글라스가 명품 대신 선택받으며, 이른바 '립스틱 효과'에 이은 '선글라스 효과'가 새로운 불황형 소비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9일 CJ온스타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선글라스 주문액이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했고, 주문 고객 수도 5만 명 이상 늘었다. 특히 10만 원 미만의 가성비와 가심비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선글라스 제품들이 경기 침체 속에서도 포기할 수 없는 패션 아이템으로 부상했다는 분석이다.
![]() |
헌터(HUNTER) 아이웨어 화보. [사진=CJ온스타일 제공] |
패션계에서는 긱시크(Geek+Chic) 스타일 등 개성을 강조하는 트렌드도 선글라스 인기 상승에 한몫하고 있다. 실제로 VW베라왕의 풀 티타늄 초경량 라운드 디자인 선글라스와 영국 프리미엄 브랜드 헌터(HUNTER)의 제품이 각각 상반기에 약 150억 원과 1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며 높은 재구매율을 보였다.
또한 러닝 열풍과 더불어 자외선 차단 기능성을 갖춘 스포츠 선글라스 수요도 급증했다. 오클리, 나이키, 아디다스 등 글로벌 브랜드 제품 주문액은 같은 기간 153% 증가했으며, 주문 고객 수도 네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CJ온스타일 관계자는 "고물가 시대에 작은 사치를 즐기는 소비자가 늘면서 선글라스가 새로운 불황형 소비 트렌드로 떠올랐다"며 "특히 올여름 역대급 폭염이 예고된 만큼 여름 특수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mky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