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 기반 택시 호출로 고령층 접근성 높여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오는 7일 오후 2시부터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한 '동행 온다콜택시'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고 6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디지털 소외층이 스마트폰 앱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용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콜센터(1855-0120)에 전화해 출발지와 목적지를 말하면 택시를 호출할 수 있다.
![]() |
서울 중구 서울역 앞 택시승강장에서 시민들이 택시에 탑승하고 있다. [뉴스핌DB] |
서울시에 따르면 20~40대의 60% 이상이 앱으로 택시를 호출하는 반면, 60대 이상에서는 80%가 거리에서 택시를 잡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시는 고령자 등 디지털 약자의 택시 이용을 돕기 위해 콜택시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용자가 콜센터에 전화하면 직원이 '㈜티머니모빌리티 온다택시' 웹배차 시스템에 승객 정보를 입력해 주변 택시를 배차한다. 배차가 완료되면 승객에게 차량 위치, 번호, 기사 연락처가 카카오톡 알림톡 또는 문자로 전송된다.
서울시는 '전화 호출' 서비스가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기 어려운 고령자와 교통약자의 택시 이용 편의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시범 운영 후 24시간 운영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이번 '동행 온다콜택시' 사업은 디지털 약자의 앱 이용 불편에 공감한 ㈜티머니모빌리티와 택시조합의 협력으로 진행된다. 운영비용은 ㈜티머니모빌리티가 부담하고 택시사업자에게 건당 인센티브(1000~2000원)도 제공할 계획이다.
㈜티머니모빌리티는 이미 창원과 춘천에서 유사한 서비스를 운영 중으로, 서울 내 약 3만6000대의 차량이 플랫폼에 가입돼 있어 배차 원활함이 예상된다. '동행 온다콜택시' 이용 방법은 티머니모빌리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스마트폰 앱 호출이 활성화되면서 거리에서 배회 영업 택시를 찾기가 어려워졌다"며 "디지털 기기 이용이 힘든 시민의 이동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