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유엔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인도주의 지원 규모를 대폭 축소한다. 미국의 지원 삭감 여파가 직접적인 원인이다.
유엔의 인도주의 수장 대행인 조이스 므수야는 29일(현지 시각) 유엔 안보리 회의에서 "재정 부족으로 인해 우크라이나 구호 대상을 600만 명에서 480만 명으로 줄일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유엔은 지난 1월 우크라이나 내 인도주의적 지원 대상 600만 명을 돕기 위해 26억 3,000만 달러의 예산을 요청했으나, 현재까지 확보된 자금은 17억 5,000만 달러에 그쳤다.
므수야 대행은 "전선 근처 주민, 공습 직후 긴급 대응, 민간인 대피, 실향민 보호 등 네 가지 핵심 분야에 집중하겠다"며 "지원이 더 줄어들 경우, 생명을 살리는 필수 구호활동조차 위협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엔은 우크라이나 내 인도주의적 지원 대상 인구를 약 1,270만 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 |
유엔 총회에서 연설하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
유엔의 이번 결정은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원조 삭감 조치와 맞물린다. 미국 국제개발처(USAID)의 예산은 83% 삭감돼 연간 428억 달러였던 예산이 큰 폭으로 줄었다. USAID는 전 세계 인도주의 원조의 42%를 차지해왔다.
한편, 전황은 여전히 격화되고 있다. 러시아군의 무인기 공습으로 29일 밤 우크라이나 북동부 하르키우와 남동부 드니프로 지역이 집중 타격을 입었다. 하르키우에서는 고층 아파트, 의료 시설, 민간 인프라가 파괴됐고 어린이 2명을 포함해 38명이 부상당했다. 드니프로에서는 무인기 화재로 최소 1명이 숨졌다.
외교적 해법도 교착 상태다. 마르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실질적 평화 방안을 내놓지 않으면 미국은 중재에서 손을 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후 24시간 내 전쟁을 끝내겠다"고 공언했지만, 취임 100일을 맞은 지금까지 뚜렷한 성과는 없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푸틴에게 영토 보상을 해주는 식의 종전은 용납할 수 없다"며 "정의로운 방식으로 전쟁이 끝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미 측이 사실상 2014년 러시아가 강제 병합한 크림반도를 러시아 통제 하에 두는 방안을 제안한 데 대한 반발로 해석된다.명에 달한다. 북한은 병력 파병 및 무기 지원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위성 및 드론 기술을 지원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영국 일간 가디언은 러시아 점령지에서 취재 활동 중 체포돼 1년간 구금되었던 우크라이나 언론인 빅토리야 로슈치나의 생애 마지막 순간을 재구성해 보도했다. 그는 자포리자 원전 인근에서 붙잡힌 이후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전쟁 발발 이후 점령지를 넘나든 마지막 우크라이나 언론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