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대행 '대선 도전' 가능성…5월 초 출마선언 가능성
기재부 '대행의 대행체제' 복귀하나…관가 불안 고조
"급브레이크 밟게 돼" vs "이미 국정 운영 경험 있어"
[세종=뉴스핌] 이정아 김기랑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출마설이 기지개를 켜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벌써 한 대행의 출마를 전제로 단일화를 외치고 있습니다. 한 대행의 출마설이 이제는 '변수'가 아닌 '상수'가 됐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한 대행의 출마를 그 누구보다 말리고 싶은 이들이 있습니다. 바로 기획재정부입니다. 기재부는 최상목 부총리가 권한대행직을 맡았을 당시 40여일간 짧게나마 대행 체제로 운용됐습니다. 한 직원의 말을 빌리자면 '악몽 같은 시간'이었다고 합니다.
대행 체제가 되면 기재부는 더 이상 기재부가 아니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경제 컨트롤타워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모든 국정 현안을 조율하는 그야말로 '대통령실'과 같은 역할을 해야 합니다.
![]() |
[일러스트=챗GPT] |
기재부 한 관계자는 기재부 대행 체제 복귀설에 "제발 그런 말 좀 하지 말라"며 "한 대행의 바지를 붙잡고 출마를 말리고 싶은 심정"이라고 웃지 못할 농담을 건넸습니다. 그만큼 기재부가 갖는 책임감이 크다는 방증입니다.
최근 한미 '2+2 통상협의'를 마치고 돌아온 최 부총리에게 쉴 수 있는 시간을 줘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기재부 또 다른 관계자는 "부총리가 작년 연말부터 단 하루도 마음 편한 날 없이 일만 하셨는데 또다시 대행을 맡게 되면 초주검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한 대행의 출마 시점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5월 초까지 민심을 주시한 뒤 출마한다는 시나리오가 유력합니다. 앞서 언급된 30일 출마설은 존 펠런 미국 해군성 장관의 방한 일정에 따라 신뢰도가 떨어졌습니다.
한 대행이 정말로 출마하게 된다면 헌정사상 초유로 경제부총리가 권한대행을 두 번이나 맡게 되는 그림이 펼쳐집니다. 김범석 차관을 필두로 업무지원단도 다시 꾸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재부 고위 관계자는 "부총리의 경호인력은 지금도 있기 때문에 필요한 건 업무지원단일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한 대행의 출마설은 비단 기재부에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세종 관가 대부분이 '대행의 대행 체제' 여진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한 대행이 출마하면 안 그래도 대행 체제인 정부의 운영 동력이 또 한번 크게 꺾일 수밖에 없는데요. 세종 관가가 이미 겪어봤듯, 대행의 대행 체제는 사실상 '소강 상태'와도 같습니다.
모 부처의 한 관계자는 "대행 체제라는 것은 결국 '결정 보류'가 많아진다는 뜻"이라며 "올해 상반기 성과 마무리나 하반기 예산 편성 등을 고려하면 지금은 속도를 내야 할 때인데, 또 급브레이크를 밟게 되는 것 아니냐"고 한숨을 내쉬었습니다.
다른 부처의 관계자도 "이제야 어느 정도 안정을 되찾은 상태인데, 대행의 대행 체제가 돌아오면 전반적으로 다시 어수선한 분위기가 생길 것"이라며 "다른 국가들이 우리 정부를 어떻게 바라볼지에 대해 걱정이 크다. 정상적인 운영 형태가 아닌 '관리형 정부'로만 인식되면 외교 무게감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습니다.
특히 상대적으로 굵직한 과제들을 안고 있는 부처의 걱정이 큽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한 관계자는 "지금은 미국발 통상 위기에 맞서 큰 그림을 그려야 할 때인데, 불안정한 체제로 인해 우리 정부의 협상력 등이 떨어질까 봐 걱정이다"고 토로했습니다.
![]() |
한-미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에 참석하고자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5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에서 열린 동행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기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2025.04.26 100wins@newspim.com |
물론 최 부총리의 경험을 믿는 분위기도 일부 감지됩니다. 기재부 모 관계자는 "최 부총리가 이미 한 번 대행을 해봤고, 시간이 갈수록 능숙해지는 모습을 보이셨다"며 "또 맡게 된다면 좋다고는 할 수 없지만, 첫 번째 경험만큼 힘들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기재부 조직도 마찬가지로 어느 정도 '대행 체제'에 학습됐다는 뜻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재부 안팎에서 터져 나오는 한숨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출마 안 하신다고 해주셨으면 좋겠다", "조용히 남은 임기를 마무리해 주셨으면 좋겠다" 세종 관가 곳곳에서는 이런 소리가 흘러나옵니다.
한 대행이 출마 결심을 굳히면, 세종 관가는 다시 '긴급 모드'로 전환될 전망입니다. 최 부총리와 기재부는 또 한 번 국정 운영의 최전선에 서야 합니다.
지금 세종 관가는 조용한 긴장 속에서 한 대행의 입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이번에도 '출마 선언'이 관가의 한숨과 맞바뀌게 될까요.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