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스마트 제조 전환을 선도하는 3D 프린팅 기업 링크솔루션이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 절차에 본격 착수했다고 7일 밝혔다.
링크솔루션은 이번 상장에서 90만주를 공모한다. 공모 예정가는 2만원~2만3000원으로 총 공모금액은 180억 원~207억 원이다. 수요예측은 오는 24일~30일 5일간 진행, 내달 12일~13일 양일간 진행되는 일반 청약을 거쳐 연내 코스닥 시장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상장 주관사는 신영증권이 맡았다.
2015년에 설립된 링크솔루션은 3D 프린터 장비 개발 및 판매는 물론 고객 맞춤형 3D 프린팅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원스탑(One-Stop) 솔루션을 갖추고 있다. 회사는 고정밀·고속화된 출력 기술과 소재 호환성이 뛰어난 플랫폼을 기반으로 전통적인 제조 방식을 스마트 자동화 제조 방식으로 전환에 기여하고 있다.
![]() |
링크솔루션 로고. [사진=링크솔루션] |
회사는 그간 축적해온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SLA, FDM, MBJ 3D 프린터의 상용화에 성공하며 장비 국산화와 성능 고도화를 동시에 달성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SLA 장비는 개발 당시 세계 최대 출력 크기(2.3m)에 다중 레이저, 커튼 코터 리코팅, 플로팅 레진 등 독보적인 기술력을 적용함으로써 출력 품질의 정밀도를 유지하면서도 제작 시간과 공정 효율을 크게 향상시켰다.
또한 FDM 장비에는 고온 듀얼 압출 기술이 적용되어 내열성과 내화학성이 뛰어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까지 출력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고기능성 소재 기반의 3D 출력 기술을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수준으로 끌어올리며 활용 범위를 크게 넓혔다.
현재 소형 금속 출력 및 고속 양산에 최적화된MBJ 장비 양산화도 준비 중에 있다. 해당 장비는 후처리 효율성까지 고려한 차세대 금속 3D 프린팅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현재 양산화를 위한 기술 검증 및 라인 구축을 준비 중이다. 본격적인 양산이 시작되면 금속 부품의 대량 생산에 있어 기존 제조 방식 대비 비용과 시간 측면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같은 핵심 경쟁력을 기반으로 회사의 지난해 매출액은 112억 원을 달성하며 전년(73억 원) 대비 52%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앞으로도 회사는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와 글로벌 고객사 확보를 통해 국내외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수익 구조 다변화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회사는 이번 상장을 통해 확보되는 자금을 활용해 대전 내 대규모 자동화 자동화 3D 프린팅 양산체제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해당 설비는 2026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시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며 회사는 이를 기반으로 ODM 방식의 생산 역량을 강화하고 자동화 기술을 적용한 설비 단위의 플랜트 판매도 계획하고 있다.
링크솔루션 최근식 대표이사는 "회사는 정밀하고 유연한 3D프린팅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군의 생산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며 "이번 상장을 통해 단순한 자금 조달을 넘어 기업의 핵심 가치와 미래 비전을 명확히 하고 시장의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기술 경쟁력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리는 중요한 계기로 삼아 더욱 고도화된 제조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 고 밝혔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