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해제 요구 결의안 통과 직후 국회 본관 지하 1층 단전"
[서울=뉴스핌] 지혜진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16일 12·3 내란 사태 당시 국회에 진입했던 계엄군이 국회 본관의 일부 전력을 차단했던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민주당 소속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위원들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 단전 시도 적발로 국회 기능 마비 작전의 실체가 드러났다"며 이같이 말했다.
![]() |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비상계엄이 선포된 지난해 12월 4일 밤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본관에 군 병력이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2024.12.04 leehs@newspim.com |
위원들은 "그간 계엄 문건과 일부 증언으로만 언급됐던 단전 조치가 비상계엄 당시 실제로 이루어졌음이 확인됐다"고 했다.
이들이 공개한 CCTV 영상과 설명에 따르면 12월 4일 새벽 0시 32분쯤 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을 포함한 계엄군 16명은 국회 본관 2층 창문을 깨고 내부에 진입했다. 이들 중 7명은 0시 54분쯤 국회 본관 4층으로 향했고 약 6분간 배회하다가 1시 1분쯤 승강기를 타고 지하 1층으로 내려갔다.
지하에서 국회 본관과 의원회관이 연결된 통로의 문을 소방호스로 묶어 통제하려던 계엄군은 1시 6분 26초에 지하 1층의 분전함을 열어 일반조명 차단기와 비상조명차단기를 내려 지하 1층의 전력을 차단했다. 본관 지하 1층의 단전 상황은 약 5분 48초간 지속됐다. 이는 국회가 1시1분쯤 '비상계엄해제요구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불과 5분여 후에 일어난 일이다.
위원들은 "만약 계엄군이 지하가 아닌 본관 전체의 전기를 끊었거나 그 조치가 조금 일찍 이뤄졌다면 국회는 어둠 속에서 혼란에 빠져 비상계엄을 해제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같은 사실은 지난 2월 6일 헌법재판소에 출석한 김현태 단장의 증언과도 일치한다"고 주장했다.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이 12월 4일 새벽 0시 50분쯤 김현태 단장에게 전화해 '전기라도 차단하는 방법이 없겠느냐'고 말했고 국회 본관에 있던 김 단장이 '찾아보겠다'고 답변한 사실이 증언을 통해 드러났는데, 실제 두 사람의 통화 후 단전 시도가 이뤄졌다는 것이다.
이들은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이래도 계엄군 투입이 질서 유지 목적인가. 계엄군이 국회를 단전시킨 배경에는 계엄 해제 의결을 막으려던 윤석열의 지시가 있었다"고 했다.
이들은 수사기관을 향해서도 "윤 대통령이 단전·단수를 시도한 기관이 어디인지, 누구에게 지시했는지, 군·경·소방에 구체적 지시가 하달됐는지, 실제 단전 시도가 있었는지 명명백백하게 수사하라"고 강조했다.
heyj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