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상원에게 건네줬던 비화폰으로 통화
檢 출석 전 경호처에 반납
서버 있는 경호처 압색 잇달아 실패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12·3 비상계엄' 이후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이 검찰에 자진 출석하기 전, 이진동 대검찰청 차장검사와 비화폰으로 통화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7일 국회 등에 따르면 이 차장은 전날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3차 청문회에서 이같은 사실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 차장은 통화를 하게 된 이유에 대해 "(김 전 장관의) 자발적 출석이 제일 중요한 상황이고 설득이 우선이었다"며 "수사팀에서 설득이 어렵다고 했고, 제가 직접 통화해서 설득해보겠다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김 전 장관 신병 확보가 가장 중요한데 김 전 장관이 있는 곳이 군사보호시설이어서 영장을 받아도 (책임자의) 승인을 못 받으면 집행할 수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통화 시점을 놓고 논란이 나오고 있다. 통화는 지난해 12월 8일 김 전 장관이 검찰 특별수사본부에 자진 출석하기 전에 이뤄졌는데 당시에는 경찰이 김 전 장관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한 상태였기 때문이다.
![]() |
김용현 국방부 장관이 지난해 11월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뉴스핌 DB] |
당시 김 전 장관이 사용한 휴대전화는 비화폰으로 김성훈 경호처 차장이 김 전 장관에게 지급했고, 김 전 장관은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노 전 사령관은 김 전 장관에게 반납했고, 김 전 장관은 검찰 출석 전에 경호처에 반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차장은 이에 대해 "방송사에서 보도된 것을 보고 처음 인지했다"고 해명했다.
일각에서는 경찰이 김 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에 대한 구속영장 신청을 검찰이 두 차례 반려한 것을 두고 통화 내용에 석연치 않은 부분이 있어서 그런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백 의원은 "(비화폰) 서버 압수수색과 검찰이 경찰의 경호처 차장 영장 기각으로 수사가 늦어지고 있는데 의도가 있는 것이냐"는 질의에 이 차장은 "경호처 차장에 대한 수사와 비화폰 수사는 별개"라며 "연관 짓는 것은 맞지 않다"고 말했다.
비화폰은 특성상 도감청과 통화녹음이 불가능한 만큼, 통화 내역 확인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통화 기록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경호처에 있는 것으로 알려진 서버 확보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경찰 특별수사단은 지난 3일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했했으나 결국 철수했다. 압수수색 목적은 비화폰 서버 확보가 목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호처는 일부 자료를 임의제출 형식으로 경찰에 제출했다. 다만, 경찰이 요구하는 자료에 대해 경호처는 제출하지 않았다.
krawj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