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집권 1기인 2018년에 그가 부과한 관세보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이 클 수 있다는 경고가 미 연방준비제도(Fed)에서 나왔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5일(현지시간)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2025년 인플레이션이 오르거나 진전이 정체되면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과열에서 오는 것인지 관세에서 오는 것인지 가늠하면서 어려운 입장에 처할 것"이라며 "이것의 구분은 연준이 언제 행동할지, 혹은 행동에 나서야 하는지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정부는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중국에 추가 1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다만 멕시코와 캐나다 수입품에 대한 관세는 관련 국가 정상간 합의로 30일간 유예된 상태다.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는 전날부터 유효하다.
굴스비 총재는 관세가 더 높은 세율로 더 많은 국가 혹은 재화에 적용된다면 지난 2018년 트럼프 1기의 관세 부과보다 더 큰 장기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2018년 기업들이 가장 옮기기 쉬운 것들을 중국 밖으로 옮겼다면 현재 남아 있는 것은 대체하기 어려운 것들"이라며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은 이번에 더 클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이날 블룸버그TV와 인터뷰한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도 관세와 이민, 규제 완화, 에너지 정책 등이 불확실성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바킨 총재는 1분기 인플레이션율이 상당 폭 하락할 수 있다면서 이 같은 상황이 추가 금리 인하에 꽤 우호적인 상황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판단했다.
현재 4.25~4.50%의 기준금리에 대해 바킨 총재는 이것이 제한적인 수준으로 인플레이션을 연준의 2% 목표치로 계속 낮출 것으로 기대했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준) 총재 [사진=로이터 뉴스핌] 2022.12.02 ticktock0326@newspim.com |
mj722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