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애경그룹 상장사 주가 하락...상장사 시가총액 1000억 가까이 증발
국내 최대 인명피해 참사에 실적 타격 불가피...재무 리스크도 높아져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제주항공의 대형 참사 여파는 모기업인 애경그룹을 뒤흔들었다.
제주항공발 리스크가 애경그룹 기업가치도 위협하고 있다. 제주항공은 물론 지주회사인 AK홀딩스, 애경산업 주가가 급락하면서 상장사 3사의 시가총액은 하루만에 1000억 원 가까운 금액이 증발했다.
제주항공은 올해 최대 실적을 기대했으나, 여객기 사고에 따라 항공기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확산된 만큼 실적 타격은 불가피하다. 애경그룹 전체 매출의 3분의 1을 떠받치는 제주항공의 실적 하락이 현실화하면 그룹 재무 건전성 악화 가능성도 제기된다.
[무안=뉴스핌] 이형석 기자 = 지난 29일 오전 9시 7분쯤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항공기가 착륙 도중 활주로를 이탈해 외벽을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번 사고는 이날 오전 1시 30분 방콕에서 출발해 오전 8시 30분 무안에 도착 예정이던 제주항공 7C 2216편에서 발생했다. 비행기에는 승객 175명, 승무원 6명이 탑승하고 있었다. 경찰과 소방당국이 항공기 화재를 초기 진화하고 구조, 수습 작업을 진행 하고 있다. leehs@newspim.com |
◆주가 하향세...기업가치도 하락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주식 장이 열린 이후 줄곧 애경그룹 상장사(AK홀딩스, 애경산업, 제주항공) 3사의 주가는 요동쳤다.
애경그룹의 지주사인 AK홀딩스 주가는 이날 9640원으로 1만원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 27일 종가와 비교하면 1330원(12.12%) 하락했다. 이는 포털사이트에서 주가가 확인되는 1999년 이후 기록한 최저 금액이다.
같은 기간 제주항공 주가 역시 8.77% 내려앉은 7500원을 기록했다. 제주항공은 지난 2005년 애경그룹이 제주특별자치도와 합작 설립한 저비용 항공사(LCC)다. AK홀딩스가 지난해 말 기준 제주항공의 지분 50.39%를 보유해 1대 주주에 올라 있다. 이어 국민연금공단이 7.84%, 애경자산관리가 3.22%, 제주도가 3.18%의 지분을 각각 갖고 있다.
생활·뷰티부문 사업을 영위하는 애경산업은 1만3160원으로 5.19% 하락했다.
서울 마포구 홍대입구역에 위치한 애경그룹의 본사 애경타워. [사진=애경그룹 제공] |
주가가 떨어지면서 기업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인 시가총액도 하향 곡선을 그렸다. 이날 장중 상장사 3사 시가총액 합계는 1조816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7일 종가 기준(1조1740억원)과 비교하면 924억원(7.9%)이 사고가 난 지 하루 만에 공중으로 증발한 셈이다.
자세히 보면 가장 타격이 컸던 계열사는 제주항공이다. 제주항공의 시가총액은 지난 27일 6621억원에서 이날 6048억원으로 573억원 줄어들었다.
이 기간 AK홀딩스의 시가총액은 1453억원에서 1277억원으로 176억원이 빠졌고, 애경산업은 3491억원으로 지난 27일(3666억원) 대비 175억원 감소했다.
◆최악의 참사에...재무 압박도 가중될 듯
제주항공은 애경그룹의 캐시카우 역할을 해온 계열사다. 애경그룹 매출 가운데 36.3%는 제주항공에서 나온다. 영업이익 측면에서도 제주항공이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지난해 제주항공(1698억원)이 애경산업(619억원)과 애경케미칼(451억원)의 합친 금액보다도 많은 수준이다.
제주항공의 성장 아래 애경그룹은 창립 이후 매출 4조원대로 몸집을 불려 왔다. 실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애경그룹의 연간 총매출은 지난해 말 기준 4조6830억원으로, 매출 4조원대로 성장했다. 지난해의 경우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총매출(4조2912억원) 수준을 뛰어넘은 매출고를 기록하며 위기를 넘어섰다는 평가가 나왔다.
1년 전인 2022년(4조472억원)과 비교하면 그룹 총매출은 15.7% 신장했으며,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된 2021년 한 해 총매출(2조6890억원)에 비하면 74.2% 급증한 것이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틀째인 30일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 국내선 청사에 제주항공 여객기가 이륙 준비를 하고 있다. 정부는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와 관련해 내년 1월 4일까지 7일간을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다. mironj19@newspim.com |
특히 올해 제주항공은 연간 매출이 2조원을 달성할 것이라는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이러한 호실적 전망 영향으로 그룹 내에서 제주항공 입지가 커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발생한 이번 사고는 애경그룹 입장에서 뼈 아플 수밖에 없다.
전날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추락사고는 비행기에 탄 승객이 전원 사망하는 대형 참사인 만큼 실적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실제 여객기 추락사고 직후 제주항공의 항공권 취소가 잇따르고 있다. 실제 사고가 발생한 전날부터 이날 오후 1시까지 항공권 취소 건수는 7만건을 육박하고 있다. 또 제주항공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해소될 때까지는 당분간 이용객 감소가 예상된다.
제주항공의 실적 악화는 곧 애경그룹 전반의 재무 리스크로 작용할 전망이다. 재무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선 내년 실적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제주항공의 성장동력에 제동이 걸리면서 그룹 실적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가뜩이나 애경그룹은 그간 재무 악화에 시달려 왔다. 실제 애경그룹의 부채비율은 2022년 137.6%에서 지난해 145.4%로 상승했다. 차입금이 늘어난 탓이다. 지난해 그룹 전체에서 발생한 차입금 규모는 1조9212억원에 달한다. 전체 부채금액 4조2212억원의 절반 가까운 비율이다.
같은 기간 그룹이 거둬들인 영업이익은 3024억원에 그쳤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 역시 5562억원에 불과했다. 그룹이 진 빚을 갚기엔 턱 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AK플라자. 로고. [사진=AK플라자] |
AK홀딩스의 재무 구조도 나빠진 상태다. 올해 3분기까지 AK홀딩스의 누적 이자비용은 301억원가량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영업활동으로 거둬들인 이익은 129억원에 그쳤다. 이상보상배율은 0.43에 불과했다. 영업활동으로 번 돈으로는 이자도 못 낸다는 의미다. AK홀딩스의 부채비율은 2022년 294.6%에서 지난해 310.7%로 상승했다. 부채비율이 300%를 넘으면 위험 시그널로 판단하고 신용등급 하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제주항공 등 계열사 지원 여력이 그만큼 없어졌다는 이야기다.
또 제주항공 모기업인 애경그룹의 이미지 실추에 따라 유통 등 계열사 전반으로 파장이 미칠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가습기살균제 사태에 이어 이번 여객기 참사까지 발생하면서 소비자 신뢰가 바닥으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애경 불매운동 조짐도 일고 있다.
애경그룹은 우선 사고 수습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입장이다. 전날 오너일가인 장영신 회장과 장 회장의 장남인 채형석 총괄부회장이 잇달아 유족에게 사죄의 뜻을 전하며 소비자 달래기에 나섰다. 장 회장이 신년사 외 공개적으로 입장문을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만큼 오너일가도 사안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채형석 총괄부회장은 전날 오후 무안공항 사고 현장을 찾아 유가족을 만나 머리를 숙였다. 현재 채 총괄부회장은 무안에 머무르며 사고 수습에 전념하고 있다.
AK홀딩스 관계자는 "이번 사고와 관련해 그룹 차원에서 지원에 나서고 있으며, 제주항공의 사고대책반을 중심으로 향후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nr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