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원만이 정답 아니지만 첫걸음으로 반드시 필요
[서울=뉴스핌] 이영섭 사회부장= 한국 사회에 의대 정원 증원 문제가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 지역 의료 서비스 부족 등으로 인해 의료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의사 수를 증원하는 것은 필수적인 과제가 되었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증원을 추진하고 있지만, 의료계는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계는 단순히 반대 입장을 고수하기보다는, 현실적이고 장기적인 해결책을 마련하는 데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이영섭 사회부장 |
의대 정원 증원은 시대적 필요
현재 한국의 의료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만성 질환과 복합적 건강 문제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 한국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2020년 15.7%에서 2050년에는 38.1%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의료 서비스 수요의 폭발적 증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단순히 의료 자원을 최적화하는 수준을 넘어, 필수적으로 의사 수 자체를 늘릴 필요가 있다.
지역 의료 격차는 더욱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지방의 환자들은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고, 인력 부족으로 인해 양질의 진료를 받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대도시 중심으로 의사들이 몰리면서 지방 환자들의 의료 공백이 심화되고 있다. 의대 정원을 증원하지 않고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대한의사협회가 우려하는 과잉 경쟁과 수도권 집중 현상을 완화하려면, 인력을 양성하는 동시에 지역 의료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개입이 병행되어야 한다.
의사 수 부족은 국가 의료 시스템의 리스크
의사 수 부족은 단순한 통계상의 문제가 아니라, 의료 서비스의 질과 접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2020년 기준 한국의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2.4명으로, OECD 국가 평균 3.5명보다 낮다. 인구 대비 OECD 국가 중 하위권에 속하며, 이는 장기적으로 한국 의료 시스템에 큰 부담을 주는 잠재적 리스크이다.
실제로 코로나19 팬데믹은 한국 의료 인프라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병상 수나 의료 장비는 충분했지만, 현장에서 진료를 담당할 의료 인력이 부족했다. 특히 중증 환자 치료를 담당할 의사들의 부족이 현장 대응을 어렵게 했다. 이는 의사 수 증원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키는 사례로, 향후에도 대규모 감염병이나 국가적 의료 위기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의사 수를 증원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의료계의 적극적 참여와 책임 의식 필요
의대 정원 증원을 둘러싼 갈등에서 의료계는 반대 입장을 표명하며 파업을 벌이는 등 강경 대응을 이어왔지만, 이제는 더 적극적으로 해결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의료계가 우려하는 문제는 충분히 타당하다. 단순히 의사 수를 늘리는 것만으로는 의료 서비스 질을 보장할 수 없으며, 수도권과 특정 전문과목으로의 쏠림 현상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도 크다. 하지만 이러한 우려를 반영한 새로운 정책을 모색하는 데 의료계의 역할이 필요하다.
의료계는 단순한 반대가 아닌, 대안을 제시하며 협력할 수 있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의사 증원과 더불어 필수 의료 분야나 지역 의료에서 종사할 의사들이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정부와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캐나다나 호주의 사례처럼, 일정 기간 지방에서 근무하도록 유도하는 제도나 인센티브를 도입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의료계는 이러한 정책 설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의료 서비스의 질을 유지하면서도 의료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
지속 가능한 의료 시스템을 위한 다각적 접근
의대 정원 증원 문제는 단순히 의사 수의 양적 증가를 논하는 것이 아니라, 의료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고민하는 문제다.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고령화와 의료 수요 증가 문제는 단기적인 해결책으로는 대응할 수 없다. 따라서 의대 정원 증원과 함께 의료 자원의 효율적 재분배와 새로운 기술 도입을 통한 의료 서비스 혁신이 필요하다.
원격 의료와 인공지능(AI) 기반 의료 기술의 도입은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는 원격 진료를 통해 적시에 환자를 관리할 수 있으며, AI는 진단과 치료의 정확성을 높여 의사들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기술 혁신을 통해 의료 서비스의 질을 유지하면서도 의료 인력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해진다면, 의사 수 증원이 가져올 잠재적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의사 증원은 필수, 의료계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
의대 정원 증원은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고령화와 의료 수요 증가, 지역 의료 격차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의사 수를 늘려야 한다. 하지만 단순히 숫자를 늘리는 것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의료계와 정부는 협력하여 필수 의료 분야와 지역 의료 시스템의 강화를 목표로 해야 하며, 의료계는 문제 해결의 주체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맡아야 한다.
의사를 더 많이 양성하는 것만이 답은 아니지만, 그 첫걸음은 반드시 필요하다. 정부와 의료계가 함께 협력해 지역 의료 공백을 해소하고, 의료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때다.
한국 의료의 미래는 의료계와 정부의 상호 협력과 혁신에 달려 있다. 의사 증원이 의료 시스템에 미칠 긍정적 영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의료계가 반대 입장에 머무르기보다는 장기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파트너로 나서야 한다.
nevermi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