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매출 10조 돌파에도 342억 영업손실
멤버십 인상에 시장 변화 주목
티메프 사태로 일부 고객 흡수 가능성
[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쿠팡이 변화의 기로에 놓였다. 7일부터 쿠팡은 와우회원 기존 월회비를 4990원에서 7890원으로 58.1% 인상한다. 멤버십 가격이 오르며 일부 '탈팡' 고객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지만,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로 현금성 자산을 갖춘 쿠팡으로 셀러와 고객이 모이며 위기가 상쇄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쿠팡은 올해 2분기 매출 10조 원을 돌파했다. 파페치(6300억 원)를 제외한 쿠팡 매출은 9조4053억 원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공정거래위원회 과징금 추정치가 선반영되며 8분기 만에 적자 전환하는 등 수익성은 좋지 못했다. 이커머스 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 쿠팡에게 위기가 될지, 기회가 될지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서울 송파구 쿠팡 본사. [사진=뉴스핌DB] |
◆ 핵심·성장 사업 모두 선전했지만…과징금 무게 무거웠다
쿠팡 Inc는 이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2분기 실적을 보고한 뒤 콘콜을 열고 프로덕트 커머스 활성 고객 수가 전년 대비 12% 늘어났으며, 성장 사업 부문에서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다고 전했다.
특히 파페치를 제외한 성장 사업 상승세는 188%를 기록했다. 쿠팡의 미래도 밝다는 것을 시사하는 구간이다. 김범석 의장은 "가장 오래된 고객 집단(코호트)을 포함한 고객들이 계속해서 소비를 늘리고 있다"며 "(쿠팡은) 미래 성장 기회가 무궁무진하며 아직도 개발되지 않은 부분이 상당하다"고 설명했다.
이커머스에서 10조 원의 매출은 고무적이다. 쿠팡의 실적은 이미 지난해 기준 국내 유통 강자인 이마트를 뛰어넘고 있다.
다만 쿠팡은 2분기 342억 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지난 2022년 3분기 이후 8분기 만에 적자 전환했다. 이에 대해 거랍 아난드 쿠팡 CFO는 "파페치와 관련한 구조조정 비용, 한국 공정위에서 발표한 조사 결과로 발생한 1억 2100만 달러(약 1630억 원)의 과징금 추정치가 반영됐다"고 말했다.
앞서 공정위는 지난 6월 쿠팡이 판매량 등 객관적 데이터와 무관하게 자사 PB 상품을 상단에 배치한 혐의로 국내 단일기업 기준 역대 최고액인 1400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쿠팡 대구 물류센터 [사진=쿠팡] |
◆ 이날부터 요금 인상…'탈팡' 규모 얼마나 될까
이날은 쿠팡의 요금 인상일과 맞물렸다. 쿠팡은 지난 4월 멤버십 서비스 '와우 멤버십' 요금을 이날 8월 7일부터 월 7890원으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쿠팡은 가격 인상의 근거로 '다양한 혜택'을 들었다. 현재 와우 멤버십은 신선식품 무료 새벽배송, 당일배송 등 각종 무료 서비스 외에도 와우회원 전용 상품 할인 등을 포함해 10가지 이상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쿠팡이 유치 고객이 늘어 어느 정도의 '락인 효과'가 발생하자 가격을 올린 것이라고 보고 있다. 쿠팡의 인상 가격에 대해서는 '너무 높다'는 의견도 있지만, 제공하는 혜택을 봤을 때 '적절하다'는 의견 등으로 나뉜다.
쿠팡의 가격 인상 이후 업계에서는 회비를 대폭 인하하는 등 '탈팡' 고객 유치에 나서기도 했다. 다만 이로부터 3개월이 지난 올 7월에도 쿠팡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이하 와이즈앱)에 따르면 7월 쿠팡의 MAU는 오히려 지난달 대비 1.2% 늘었다. 쿠팡에 이어 2위와 3위는 알리익스프레스, 테무가 각각 차지했으며 11번가, G마켓이 뒤를 이었다.
통상 업계에서 MAU가 정확한 지표로 꼽히지는 않는다. 다만 업계 내에서 비교해봤을 때 멤버십 요금 인상 직전인 7월까지도 쿠팡 앱을 방문하는 고객이 오히려 6월보다 늘었다는 점에서, 쿠팡의 고객 '락인 효과'가 유효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가격이 인상되면서 일부 '탈팡' 움직임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는 '7890원은 너무 심하다', '7월까지 잘 쓰고 탈퇴한다'는 등의 게시글이 잇따라 눈에 띈다.
◆ '티메프 사태' 영향에도 관심…3분기 실적 주목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사진은 서울 강남구 티몬 신사옥의 모습. 2024.08.01 pangbin@newspim.com |
티메프 사태가 쿠팡에 미칠 영향도 주목된다. 와이즈앱에 따르면 티메프 사태가 본격화된 지난달 쿠팡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전월 대비 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티메프를 이탈한 수요를 쿠팡이 일부 흡수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쿠팡은 이날 실적을 발표하면서 '재무 안전성'을 강조했다. 현재 업계에서는 티메프 사태로 판매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커머스 업체 유동성이 중요시되고 있다. 쿠팡의 2분기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55억 3600만 달러(7조 5867억 원)로 작년 말 52억 4300만 달러보다 2억 9300만 달러가 늘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현재 일간 활성자 수에 따라 부동의 1위인 쿠팡과 2위, 3위를 휩쓴 C커머스로의 이동이 있을 것"이라고 했고, 이종우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 또한 "쿠팡이나 모기업이 튼튼한 G마켓, SSG닷컴으로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티몬, 위메프의 국내 점유율이 낮아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또, 티몬과 위메프가 오픈마켓을 주력으로 하던 만큼 쿠팡보다는 네이버와 G마켓 등 오픈마켓 위주 플랫폼이 수혜를 누릴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업계는 쿠팡의 3분기 실적에 주목하고 있다. 이커머스 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 이 모든 효과가 쿠팡의 실적에 반영된 때가 3분기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작년 쿠팡의 3분기 실적은 11월 초에 발표됐다.
mky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