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소부장 경쟁력강화위원회 개최
"글로벌시장 연평균 10% 내외 성장"
2033년까지 R&D 총 4000억원 투입
자립화율 20% 목표…7100억원 효과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최근 글로벌 제약시장이 합성 의약품에서 바이오 의약품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관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바이오 소부장 공급망 확보 등 산업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바이오 소부장 기술개발 로드맵을 추진하기로 했다.
바이오 소부장 80개 핵심 품목에 대해 오는 2033년까지 R&D 총 4000억원을 투자해 자립화율을 현재 7%에서 20%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 글로벌 바이오 소부장 시장, 2029년 708억달러 규모 전망
정부가 3일 발표한 '바이오 소부장 기술개발 로드맵'에 따르면 세계 매출 100대 의약품 중 바이오의약품 매출 비중은 지난 2012년 38%에서 2020년 52%로 절반을 넘어섰고, 2026년에는 57%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매출 비중도 2014년 24%에서 2028년 44%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글로벌 바이오 소부장 시장 규모가 2022년 358억 달러에서 2029년 708억 달러로 연평균 10% 내외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
그러나 그동안 우리 바이오산업은 바이오 제조 역량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생태계 전반의 경쟁력 확보에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국내 바이오기업은 제품 생산을 위한 원·부자재의 95% 이상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바이오 소부장 기술개발을 통해 공급망과 산업 경쟁력 강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바이오 소부장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추진한다는 복안이다.
◆ 바이오 소부장 80개 핵심 품목에 3단계 지원…자립화율 20% 목표
정부는 먼저 바이오 소부장 80개 핵심 품목에 대해 기술 수준을 분석하고 수요기업 수요조사 등을 거쳐 오는 2033년까지 단계적 R&D 개발을 시행하기로 했다.
부문별로 소재 33개, 부품 21개, 장비 26개다. 먼저 소재 부문에는 항체·백신·세포치료제 등 고생산성 핵심 세포주 개발을 중점으로 시행한다.
부품 부문에서는 세포배양과 의약품 보관을 위한 일회용 백·필름 개발과 정제를 위한 필터·컬럼 개발, 저장·소모 기자재 개발 기술을 중점으로 지원한다.
![]() |
장비 부문에서는 의약품 제조와 생산에 필수적인 배양·합성, 고순도 정제·분석 장비 개발, 공통 활용 장비·시스템 자립에 무게를 둔다.
지난 2020~2023년 지원 기반을 바탕으로 2024~2028년 경쟁력을 축적해 2029~2033년 글로벌로 도약할 수 있도록 3단계로 나눠서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이번 로드맵을 통해 바이오 소부장 자립화율을 현행 7%에서 2033년 20%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만약 자립화율 20%를 달성하게 되면 약 7100억원 이상의 수입 대체 효과가 발생한다.
정부 관계자는 "단기간 내 성과 창출이 가능한 품목과 중장기적인 지원이 필요한 품목을 분류해 특성에 맞는 단계별 기술개발 지원을 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