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정세 변화로 공통의 고민 안은 한·일
한·일 관계 중요성 인식..."지금은 협력할때"
트럼프 만나기 앞서 '한미일 협력 중시' 메시지
향후 동맹 재조정 논의에서 '협상력 제고' 의도
[서울=뉴스핌] 유신모 외교전문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25일 첫 번째 한·미 정상회담을 갖기 위해 미국 워싱턴DC로 향하는 길에 일본을 먼저 들르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23일 도쿄에서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와 회담한 뒤 24일 미국으로 출발한다.
한국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기 전에 일본 총리를 먼저 만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미국을 방문하고 돌아오는 귀로에 일본에 들르는 것이 아니라 일본을 거쳐 미국으로 향하는 행보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 |
이재명 대통령(오른쪽)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지난 6월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첫 번째 한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일본 외무성 홈페이지] 2025.06.18 |
이재명 대통령의 이 같은 정상외교 행보는 상당히 전략적이다. 단순한 일정 선택이 아니라 이를 통해 발신하고자 하는 외교적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다.
가장 기본적으로는 한·일 관계의 중요성이 커진 탓이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북·러 군사협력 강화,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 출범 등으로 국제정세가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일이 협력 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
한·일 관계에 정통한 외교 소식통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경제·통상은 물론 안보 문제까지 한·일의 공통적 고민이 커진 상태"라면서 "미국이 기존 동맹국과의 관계를 재설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과 일본이 대미 관계에서 서로 협력하고 같은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공통의 인식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이 미국 방문에 앞서 이시바 총리와 회담을 하는 모양새는 한국이 대일본 외교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는 것을 알리는 효과가 있다. 이는 일본은 물론 미국과의 관계에서도 긍정적 요소로 작용한다. 이 대통령이 이시바 총리와 회담에서 한·일 관계와 한·미·일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발표하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한 사전 작업이기도 하다.
미국 대외전략의 궁극적 목표는 '중국 견제'이며,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위해 아시아 핵심 동맹국인 한·일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 대통령이 대일 외교 중시 기조를 보이는 것은 미국이 한·미·일 협력의 '약한 고리'로 인식하고 있는 한·일 관계에 대한 불안감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미국 내에서 여전히 널리 퍼져 있는 이 대통령의 '친중' 이미지를 해소하는 데도 일조할 전망이다.
특히 이번 한·미 정상회담은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이후 후속 조치와 함께 주한미군 역할 변화, 국방예산 증액 등 안보 관련 이슈가 본격적으로 논의되는 출발점이다. 한국이 일본과 함께 미국의 아시아 전략에서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동맹국이라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향후 펼쳐질 동맹 재조정 논의에서 협상력을 높이려는 의도도 포함돼 있다.
한·미·일 안보 문제를 다뤄온 전직 관료 출신의 전문가는 "한국의 외교안보 중심축은 한·미 관계인데, 한·일 관계가 불안정하면 그 중심축이 흔들리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면서 "이재명 정부가 한·일 관계 안정을 외교안보의 기초적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 문재인 정부와 다른 점"이라고 지적했다.
![]() |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왼쪽 세번째)이 지난1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베스 반 듀인(첫번째), 리차드 맥코믹 연방 하원의원과 면담하면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8. 12 |
하지만 한·일 관계가 우호적 흐름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양국 정부의 국내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변수다. 지뢰처럼 곳곳에 깔려 있는 한·일 갈등 요소가 현안으로 부각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국내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의 흐름이 언제까지 지속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
당장 문제가 될 수 있는 것만 살펴봐도 한국의 광복절이자 일본의 패전일인 15일 양국의 국내 행사가 있다. 이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 한·일 과거사에 대해 어떤 언급을 할지, 이시바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지 등이 문제다. 또 한·일이 조만간 직면하게 될 일본산 수산물 수입 규제 논의와 사도광산 추도식 문제도 중대한 고비가 될 수 있다.
opent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