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첫 정비사업 기부채납 노인요양시설
5월 순차 입소, 기초생활수급자 본인부담 면제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내년이면 우리나라도 국민 5명 중 1명이 만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 이런 가운데 서울시가 어르신 전국 최초 민간 개발사업 공공기여 방식으로 '어르신 전용 돌봄시설'을 기부채납 받아 오는 5월 개소한다.
시는 오는 2030년까지 시설 충족률을 80%까지 끌어올려 고령화에 적극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오는 5월 개소 예정인 '시립 은평실버케어센터' 입소 희망 어르신 75명을 오는 3월 4일 오전 10시부터 모집한다고 19일 밝혔다. 시립은평실버케어센터 누리집을 통해 선착순 신청 받는다.
![]() |
시립 은평실버케어센터 가족 면회실 [사진=서울시] |
은평구 수색13구역 주택재개발사업 기부채납(사업비 107억원)으로 조성된 '시립 은평실버케어센터'는 재개발조합과 지역 주민, 서울시·은평구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당초 녹지로 계획됐던 공간을 어르신 요양시설로 변경하게 됐다. 입소는 장기요양등급 중 '시설 등급'을 받은 어르신이 신청할 수 있으며 센터 누리집에서 온라인 신청서를 작성, 상담을 거쳐 입소 계약을 하고 오는 5월부터 순차적으로 입소하게 된다.
장기요양등급을 받아 시설에 입소하는 경우 장기요양 급여비용 20%의 본인부담금이 있으나 국민기초생활 수급자는 본인부담금이 면제되며 '의료급여법'에 따른 수급권자 등은 본인 부담이 감경(본인 부담 비율 8~12%) 된다. 시립 은평실버케어센터 입소 관련 문의는 전화(02-6956-1360) 또는 누리집(www.epsenior.or.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연면적 2198㎡(대지면적 898.1㎡), 지하 1층~지상 5층 규모로 ▲생활실(1·2·4인실) ▲프로그램실 ▲가족면회실 ▲공용거실 ▲상담실 등으로 구성되며 개인의 생활패턴을 유지하면서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유니트케어(Unit Care)'가 도입된다.
유니트케어는 '시설'이 아닌 '자택' 수준의 생활공간에서 어르신이 기존 일상을 이어가며 돌봄을 받는 서비스를 뜻하는 용어다. 시는 앞으로 실버케어센터에 로봇 등을 활용한 다양한 돌봄 시스템을 도입한다. 또 사회복지사·간호사·물리치료사·영양사·요양보호사 등 어르신 돌봄에 특화된 전문인력이 맞춤형 통합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노인요양시설 운영 경험과 역량을 보유한 민간 전문기관이 위탁운영 할 예정이다.
시는 유휴부지 부족, 재원확보 곤란 등 어르신 요양시설 확충에 어려움이 있으나 이번 은평실버케어센터 건립을 계기로 시내 재정비 사업 공공기여 등 다각적인 방안을 통해 시·구립 공공요양시설을 지속 확보, 오는 2030년까지 시설 충족률을 80%까지 높인다는 계획이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