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개발 앞서 환경보호 강화 일환
17개소 맞춤형 관리시스템 구축 목표
'개발보다 환경' 기조 맞춰 정책확대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한강르네상스 2.0'을 선언한 서울시가 17개 생태경관보전지역(생태보전지역)에 대한 통합 관리 매뉴얼을 처음으로 수립한다. 대규모 한강 개발에 따른 환경훼손 우려를 불식시키고 생태계보호를 위한 '거점'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본격적인 개발에 앞서 다양한 환경 대책이 수립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생태계경관보전지역 관리매뉴얼 수립 연구' 과제가 시 학술용역 심의를 통과함에 따라 이달부터 오는 12월까지 8개월간 연구에 돌입하는 것으로 4일 확인됐다.
1999년 첫번째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된 한강밤섬의 모습. [사진=뉴스핌DB] |
생태보전지역은 생물다양성이 풍부해 특별히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을 지정한다. 인위적 훼손 및 오염으로부터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지역 내 거주가 대부분 불가능하고 야생동・식물을 포획하거나 채취, 이식, 훼손 및 고사시키는 행위 등을 할 경우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다.
한강밤섬이 대표적이다. 거주는 불가능하지만 환경보호를 위해 체계적으로 관리되면 인근 지역까지 포함하는 친환경 자연공간으로 확대될 수 있어 시민들의 선호도가 높다. 생태보전지역을 거점으로 환경이 관리되기 때문에 생태계 보호 측면에서도 매우 의미가 크다.
1999년 한강밤섬을 시작으로 ▲2000년 1개소(둔촌동) ▲2002년 4개소(탄천, 방이동, 암사동, 진관동) ▲2004년 2개소(고덕동, 청계산 원터골) ▲2005년 1개소(헌인릉) ▲2006년 3개소(남산, 불암산 삼육대, 창덕궁 후원) ▲2007년 2개소(봉산, 인왕산) ▲2009년 3개소 (성내천하류, 관악산, 백사실계곡) 등 총 17개소를 지정했다.
지정 당시 면적은 481만2880㎡였으나 2002년과 2013년 둔촌동, 2005년 방이동, 2007년 고덕동과 남산, 2021년 암사동 지역을 확대해 현재 총 496만1571㎡를 관리하고 있다.
생태보전지역은 1999년부터 각 지역별로 6년 주기로 1년간 정밀변화관찰 학술용역을 추진해 그 결과를 관리계획에 반영해 왔다.
하지만 보전지역 전체에 대한 관리에 집중하다보니 지역별 맞춤형 관리계획은 제대로 수립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관리주체별 대응방법이 제각각 다르고 담당자 인사이동에 따른 인수인계 과정도 부실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이번 관리매뉴얼 수립 연구에서는 각 보전지역에 대한 지정 당시 보호목표와 현 실태조사를 면밀하게 진행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들을 진단해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을 수립한다는 목표다.
또한 국내외 관리 사례를 연구해 적용하고 담당자 변경에 따른 업무혼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한다. 필요할 경우 조례 등 법률 개정 등조 제안할 계획이다.
한강을 중심으로 한 대대적인 수변도시개발 프로젝트인 '한강르네상스 2.0'을 선언한 오 시장 역시 환경보호가 우선이라며 생태보전지역의 중요성을 수차례 강조한바 있다.
지난 3월 중순 유럽순방 중 진행된 간담회에서 "10년전 '한강르네상스'를 추진할때도 환경오염을 이유로 반대가 있었지만 10년후 한강은 오히려 생물다양성이 늘어나는 등 친환경적으로 변했다"라며 "이번에도 생태계를 더 보호하는 방향으로 개발을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그동안 체계적으로 수립된 관리매뉴얼이 없다는 지적이 많아 이에 대한 연구부터 시작하며 최종 보고서는 연말쯤 나올 예정"이라며 "효율적이고 통일된 매뉴얼을 현장에 적용해 생태계보호에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