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뉴스핌] 남효선 기자 = '국유림 명품 숲'으로 지정되면서 핫플로 떠오르는 경북 영양군 수비면 죽파리 '자작나무 숲'으로 오르는 길은 두 개의 명징(明澄)을 선사한다.
하나는 검마산과 울진 백암산이 잣어올리는 장파천(長波川)의 청정무구(淸淨無垢)한 속살이며, 또 하나는 검마산 품에 안긴 순백의 자작나무숲이다.
![]() |
![]() |
시리도록 명징한 장파천의 속살을 따라 산길을 따라 오르다가 이윽고 눈을 들면 축구장 42개 크기의 34㏊ 규모의 자작나무숲을 만난다.
자작나무숲으로 오르는 초입에 자리한 마을은 죽파리(竹坡里)이다. 조선 인조 16년인 1639년 김충엽(金忠葉)이라는 이가 마을을 개척하면서 '장군처럼 기개와 정기가 높아지라'며 붙인 이름으로 전한다.
![]() |
![]() |
![]() |
마을에서 자작나무숲까지는 장파천을 끼고 오르는, 비교적 평탄한 3.2km 거리의 산길이다. 누구나 한가롭게 걸어 오를 수 있다.
영양군은 최근 자작나무숲으로 오르는 초입에 자리한 죽파리 마을 입구의 주차장에서 자작나무숲까지 노약자들을 위한 전기차를 운영하고 있다.
![]() |
![]() |
자작나무 숲 속에 2㎞ 구간의 숲속 오솔길이 조성돼 있다. 향후 총 11㎞가 조성될 예정이다.
숲은 산림청이 지난 1993년부터 조성했다.
![]() |
![]() |
죽파리 자작나무숲은 지금 이파리를 모두 떨궈 다시 검마산의 자양분으로 돌려보내고 순백의 앙가슴으로 겨울을 맞고있다.
가만히 들여다보면 자작나무는 자신의 몸체를 두른 껍질을 한겹한겹 풀어내 자연으로 내보낸다.
제 스스로 허물을 벗는 듯한다. 껍질에서 하얀 가루가 묻어날 것 같다. 사람들은 자작나무의 껍질을 벗겨 그림을 그렸다. 대표적인 것이 경주 천마총에서 나온 천마도를 비롯 서조도(瑞鳥圖) 등이다.
![]() |
![]() |
![]() |
사람들은 또 자작나무로 혹한의 겨울을 났다. 껍질은 기름기가 많아 잘 썩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불을 붙이면 잘 붙고 오래간다.
아궁이에서 오래 이글거리며 '자작자작' 소리가 난다하여 '자작나무'란 이름을 붙였다.
검마산을 휘감고 내닫는 바람과 장파천이 선사하는 물소리는 또 하나의 화음이다.
오래된 토종 솔과 굴참나무, 층층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가 장파천을 따라 내닫는 바람을 모아 아름다운 공명을 선사한다.
![]() |
![]() |
가족과 함께 숲으로 나온 아이들은 길 위에 쌓인 낙엽을 줍고, 물소리에 귀기울이며 자연이 오롯이 내어주는 장난감에 흠뻑 빠져든다.
시인 백석(1912~1995)은 시 '백화(白樺)'에서 자작나무 이렇게 노래했다.
"산골집은 대들보도 기둥도 문살도 자작나무다/ 밤이면 캥캥 여우가 우는 山도 자작나무다/ 그 맛있는 메밀국수를 삶는 장작도 자작나무다/ 그리고 甘露같이 단샘이 솟는 박우물도 자작나무다/ 山너머는 平安道 땅이 뵈인다는 이 山골은 온통 자작나무다"<백석 시 '백화'>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