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第五届中国(济南)新动能创新创业 大赛亚洲赛区(韩国)预赛圆满结束

기사입력 : 2022년09월16일 11:03

최종수정 : 2022년09월16일 11:03

纽斯频通讯社首尔9月16日电 第五届中国(济南)新动能创新创业大赛亚洲赛区(韩国)预赛15日在首尔以线上、线下相结合的方式成功举办。

第五届中国(济南)新动能创新创业大赛亚洲赛区(韩国)预赛嘉宾合影。【图片=人民网韩国频道提供】

本次大赛亚洲赛区预赛由济南市槐荫区承办,济南市委组织部副部长宁延学,槐荫区委书记孙常建,区委副书记、区长刘敬涛,韩国国会议员金弘杰,中国驻韩国大使馆科技处参赞张楠等嘉宾以及来自海内外的技术、投资、法律等领域的专家评委出席了本次大赛。

开幕式上,孙常建代表主办方及70万槐荫人民对与会嘉宾表示欢迎,并向韩国广大知名企业、商业翘楚、创新人才发出"共享重大机遇,共创美好未来"的邀约。他向韩国参赛者详细介绍了槐荫"天时地利人和"的各项优势:槐荫是一座历史悠久、至诚守信的重商之城,一座区位优越、交通便利的通达之城,一座生态优美、和谐温馨的宜居之城,一座资源富集、充满朝气的创新之城,一座产业发达、市场广阔的掘金之城。孙常建表示,今天的槐荫,正处于高质量发展的加速期、战略机遇的叠加期、产业升级的转型期、生态红利的释放期,欢迎更多韩国企业和人才选择槐荫、投资槐荫、扎根槐荫、兴业槐荫。槐荫区坚持大小企业、内资外资一视同仁、公平对待,尊重人才、尊重知识、尊重创新,做所有企业和人才的好朋友、好伙伴。

槐荫区委书记孙常建。【图片=人民网韩国频道提供】

金弘杰在视频贺辞中表示,从金大中总统在任时期开始,韩国就掀起了风险投资热潮。以风投领域重大扶持政策为依托,众多优秀风投企业为韩国经济注入了新动力,携手本国传统产业共同成长。现在,风投企业和初创企业不仅在韩国,在中国也是非常重要的经济支柱,正成为全球经济增长的新动力。期待韩中两国成功克服疫情困难,通过活跃的人才交流和经贸合作,共创两国关系更加美好的未来。

济南市委组织部副部长宁延学。【图片=人民网韩国频道提供】

宁延学在济南会场以视频连线的方式致贺辞。他指出,今年的新动能创新创业大赛已经是济南举办的第五届大赛了。通过举办前四届大赛,吸引了六大洲53个国家地区的6061名高层次人才报名参赛,落地项目259个,引进比利时皇家医学科学院皮特院士、白俄罗斯国家科学院斯捷潘诺维奇院士等各类人才2080人,市级财政累计支持资金2.2亿元,落地企业累计实现收入11.97亿元,创新项目带动原有企业实现收入11.22亿元。宁延学表示,今年恰逢中韩建交30周年。去年济南与韩国的贸易额已达92.8亿元人民币,韩国累计在济南设立合资企业205家,达成合同外资13.6亿美元,实际使用外资2.4亿美元,合作潜力巨大,发展空间广阔。

中国驻韩国大使馆科技处参赞张楠。【图片=人民网韩国频道提供】

张楠在开幕式贺辞中表示,中韩作为创新型国家,均重视科技创新体系建设,强调官民合作,鼓励全社会的创新创业。当前,百年变局和世纪疫情交织,世界进入新的动荡变革期。在这一关键时刻,中韩两国应同舟共济,团结合作,共渡难关。山东与韩国地缘相近、往来密切,是两国合作的"最前沿"。济南作为山东省会城市,是山东省政治、经济、文化、科技、教育和金融中心,是中国重要的交通枢纽城市。期待济南市政府以此次创新创业大赛为契机,继续支持和强化对韩科技合作,为赴济南创业、兴业的韩方专家提供优质创业环境及服务,推动科技创新合作再上新台阶!

第五届中国(济南)新动能创新创业大赛亚洲赛区(韩国)预赛开幕式现场。【图片=人民网韩国频道提供】

本次大赛参赛领域分为"大数据与新一代信息技术、智能制造与高端装备、生物医药与大健康、新能源与新材料、现代农业与低碳环保"五个关键核心技术及战略性新兴产业。每个领域设创新组、创业组两个组别。创新组侧重于参赛者的人才层次,创业组侧重于项目落地产业化。中韩两国共133家企业(或团队)参加了本次亚洲赛区预赛的角逐。

亚洲赛区预赛设置首尔及釜山两个分会场,结合韩国当地疫情防控要求,灵活采取线上线下相结合的方式进行评审答辩。釜山分会场参赛者通过云视频会议系统ZOOM连线的方式,参与路演及答辩。预赛设置了5个线下评审小组,对参赛项目的创新性、产业化前景、落地济南可行性等方面进行了评审,最终筛选出15个高水平创新和创业项目晋级决赛。

中国(济南)新动能创新创业大赛亚洲赛区预赛开幕式济南现场。【图片=人民网韩国频道提供】

据悉,第五届中国(济南)新动能创新创业大赛决赛将于10月中下旬举行。届时,国内参赛者将到济南现场参加决赛,国外参赛者将通过线上方式参加比赛。经过路演答辩、专家评审、综合评定等环节,决出大赛最终获奖项目。同时,济南市委组织部将结合大赛决赛情况,组织人才到有关园区进行实地考察和项目对接,举办现场签约仪式等活动。

(文章摘自人民网韩国频道)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美, 인텔 이어 삼성도 지분 내놔라?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법(CHIPS Act)상 보조금을 활용해 인텔 지분 확보를 추진 중인 가운데, 삼성전자와 대만 TSMC 등 다른 반도체 기업에도 같은 방식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삼성전자, 마이크론, TSMC 등 미국 내 공장 건설과 투자를 진행 중인 반도체 기업들을 상대로,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 시절 약속된 정부 보조금 제공과 맞바꿔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현실화하면 글로벌 반도체 업계에 파장이 불가피하다. 미국 정부에 지분을 넘기고 싶지 않다면 보조금을 포기해야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기업들의 순익 전망과 투자 계획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미국의 산업정책이 정권에 따라 오락가락한다는 업계의 불만과 비난 또한 커질 수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성격상 귀담아 들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 러트닉 장관은 CNBC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거래에서 실질적 이익을 얻어야 한다고 본다"며 "왜 1천억 달러 규모의 기업에 돈을 줘야 하는가. 우리는 약속한 보조금을 지급하되, 그 대가로 지분을 받아 미국 납세자들에게 혜택을 돌릴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인텔 지분 10%를 확보할 경우 최대 주주가 될 수 있지만, 러트닉 장관은 "경영권에 개입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조치는 전례가 없는 것이며, "이는 대기업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 확대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게 될 것"이란 진단이다.  로이터는 "마이크론은 인텔에 이어 반도체법 보조금을 가장 많이 받는 미국 기업이며, 삼성전자와 TSMC 역시 주요 수혜 대상"이라며 "이번 검토는 미국 정부가 반도체 산업에 대한 직접적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6월에도 비슷한 조치가 있었는데, 트럼프 정부는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승인 조건으로 '황금주(golden share)'를 확보해 주요 경영 결정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 삼성전자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 건설 현장. [사진=삼성전자] wonjc6@newspim.com   2025-08-20 08:31
사진
"10개 석화기업 NCC 370만톤 감축"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위기에 처한 석유화학 업계에 대해 강도 높은 '자구노력'을 요구했다. 업계가 제출한 계획에 대한 진정성 여부를 판단한 후 금융, 세제 등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는 방침도 공개했다. 구 부총리는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산경장)를 주재하고, 10개 석유화학 기업과 사업재편 협약을 체결했다. 이재명 정부의 첫 산경장이다. 이번 협약은 최대 370만톤 규모의 설비(NCC) 감축을 목표로 연말까지 각 사별로 구체적 사업 재편 계획을 제출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협약식에는 LG화학, 롯데케미칼, SK지오센트릭, 한화토탈, 대한유화, 한화솔루션, DL케미칼, GS칼텍스, HD현대케미칼, S-OIL 등 10개사가 참석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당정협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08.20 pangbin@newspim.com 구 총리는 "중국·중동 등 글로벌 공급과잉이 예고됐는데도 국내 석화 업계는 과거 호황에 취해 오히려 설비를 증설했다"며 "고부가 전환까지 실기하며 큰 어려움에 직면했다"고 질타했다. 이어 "이제 첫걸음을 뗀 것일 뿐 갈 길이 멀다"며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예고했다. 구 부총리는 "기업과 대주주가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바탕으로 구속력 있는 사업 재편·경쟁력 강화 계획을 빠르게 제시해야 한다"며 "당장 '다음 달'이라도 계획을 제출하겠다는 각오로 속도감 있게 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석유화학 업계가 정부에 제출한 계획이 진정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규제완화, 금융, 세제 등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구 부총리는 "사업 재편을 미루거나, 무임승차하려는 기업에 대해서는 정부 지원 대상에서 배제하는 등 단호히 대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과거 뼈를 깎는 구조조정 과정을 거쳤지만, 현재 활황을 보이는 조선업은 '좋은 선례'라고 소개했다. 그는 "조선업은 과거 고강도 자구 노력이 열매를 맺어 세계 1위로 재도약하고, 최근 한-미 관세협상에도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며 "조선업의 발자취를 따라간다면 석유화학산업도 화려하게 재도약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wideopen@newspim.com 2025-08-20 13:1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