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ICT

속보

더보기

먹구름 가득한 게임 업계 2Q 실적, '카카오게임즈'만 웃었다

기사입력 : 2022년07월26일 16:16

최종수정 : 2022년07월27일 07:44

27일 '위메이드' 필두로 내달 중순까지 경영실적 발표 진행
'위메이드·넷마블' 신작 흥행부진 속 영업비용 증가에 발목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국내 게임사들이 오는 27일부터 2분기 경영실적 발표를 시작한다. 올해 2분기 실적은 신작의 흥행여부와 영업비용 효율화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으로 카카오게임즈가 메가히트작 '오딘: 발할라 라이징'의 성공으로 전망치를 뛰어넘는 실적을 거둘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위메이드는 기대작 '미르M'의 흥행 실패로 적자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게임 업계는 27일 위메이드를 시작으로 다음 달 중순까지 2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사진=카카오게임즈]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전년 동기 대비 2분기 영업이익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회사로 엔씨소프트, 카카오게임즈, 네오위즈, 펄어비스를 꼽았다. 반면 2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는 회사로는 위메이드, 크래프톤, 컴투스, 넷마블, NHN, 웹젠을 꼽았다.

증권가는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개별 게임 매출이 줄고, 예상보다 마케팅 비용이 늘면서 게임사 다수의 수익이 감소한 것으로 보고 있다.

김하정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모바일 시장에서 경쟁 격화와 수요 둔화가 겹친 상황이 관측된다"며 "6월 카카오게임즈 우마무스메와 위메이드 미르M 출시 이후 모바일 매출 순위 최상위권 게임조차 일 매출 20억원을 넘지 못하는 상황이 관측된다. 특히 MMORPG는 장르 경쟁 강도가 매우 높아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오딘' 성공에 나홀로 웃는 카카오...'리니지W' 아쉬운 엔씨소프트

카카오게임즈는 올해 3월 대만에 출시한 MMORPG '오딘: 발할라 라이징'의 매출이 2분기에 본격적으로 반영되고, 지난달 출시한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까지 흥행몰이에 성공하면서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깜짝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카카오게임즈의 실적 컨센서스(시장 평균 전망치)는 매출 3550억원(전년비 174.19% 증가), 영업이익 786억원(전년비 869.77% 증가)에 달한다.

이에 반해 엔씨소프트는 지난해 11월 출시한 간판 MMORPG '리니지W'를 필두로 '리니지2M', '블레이드&소울2M'의 매출이 동반 하락하면서 2분기 수익이 둔화된 것으로 보인다. 리니지M이 국내 구글플레이 최상위권 매출을 올렸지만, 신작 공백이 컸다는 분석이 나온다.

에프앤가이드는 엔씨소프트의 실적 컨센서스로 매출 6388억원(전년비 18.61% 증가), 영업이익 1423억원(전년비 26.18% 증가)을 제시했다.

네오위즈는 2분기 흥행신작은 없었지만 PC, 콘솔, 모바일 게임 등 게임 사업 부문 전체 매출이 고르게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개선된 실적을 거둔 것으로 예측된다.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네오위즈의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712억원(전년비 21.03% 증가), 영업이익 69억원(전년비 32.70% 증가)에 달한다.

펄어비스는 올해 4월 중국에 출시한 MMORPG '검은사막M'이 흥행에 실패하면서 타격을 받았지만, 간판게임 '검은사막'의 PC 버전이 꾸준히 인기를 끌면서 흑자 전환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에프앤가이드는 펄어비스의 2분기 실적 컨센서스로 매출 970억원(전년비 9.59% 증가), 영업이익 84억원(흑자전환)을 제시했다.

◆ '미르M' 아쉽다, 위메이드 적자 우려...흥행실패 넷마블, 적자 겨우 모면

위메이드는 지난달 간판 MMORPG '미르M'을 출시했지만, 예상보다 국내 흥행이 저조해 수익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예측된다. 마케팅 비용이 증가하면서 적자 전환의 가능성도 나온다.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위메이드의 2분기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1322억원(전년비 91.97% 증가), 영업이익 36억원(전년비 86.62% 감소)에 달한다.

크래프톤은 슈팅 서바이벌 게임 'PUBG:배틀그라운드' PC 버전의 월 평균 이용자확보를 위해 무료 G코인을 지급한 영향으로 수익이 둔화된 것으로 보인다. PUBG:배틀그라운드 모바일 버전은 계절적 비수기(시험 기간 등) 영향을 받았다. 에프앤가이드는 크래프톤의 2분기 실적 컨센서스로 매출 4685억원(전년비 1.98% 증가), 영업이익 1690억원(전년비 2.99% 감소)을 제시했다.

컴투스는 올해 3월 인수한 공연 플랫폼 기업 '마이뮤직테이스트'의 연결 편입 효과와 더불어 지난 4월 진행한 히트작 '서머너스워 : 천공의 아레나'의 8주년 이벤트 효과로 매출은 증가했지만, 자회사 '위지윅스튜디오'의 적자 여파로 수익은 감소한 것으로 예측된다.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컴투스의 2분기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1678억원(전년비 9.77% 증가), 영업이익 68억원(전년비 38.10% 감소)에 달한다.

넷마블은 기대를 모았던 신작 게임 '제2의 나라: 크로스 월드' 글로벌을 비롯해 리듬액션 게임 'BTS 드림 : 타이니탄 하우스' 등을 출시했지만 흥행에 실패하면서 부진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영업비용이 늘면서 2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할 가능성도 있지만, 흑자 전환에는 성공한 것으로 예측된다.

에프앤가이드는 넷마블의 2분기 실적 컨센서스로 매출 6680억원(전년비 15.73% 증가), 영업이익 75억원(전년비 53.49% 감소)을 제시했다.

NHN은 웹보드 게임과 모바일 게임 매출이 모두 증가한 반면, 중국 정부의 상해 봉쇄조치 영향으로 커머스 사업이 타격을 받으면서 수익이 둔화된 것으로 보인다. 에프앤가이드가 예측한 NHN의 2분기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5270억원(전년비 14.16% 증가), 영업이익 144억원(전년비 39.53% 감소)에 달한다.

웹젠은 올해 2월 출시한 MMORPG '뮤오리진3' 매출이 미미한 가운데 지난 5월 대만에 '뮤 아크엔젤2'를 출시하면서 광고선전비 등이 증가해 수익이 둔화된 것으로 예측된다.

에프앤가이드는 웹젠의 2분기 실적 컨센서스로 매출 694억원(전년비 3.09% 감소), 영업이익 227억원(전년비 1.99% 감소)을 제시했다. 

dconnect@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사진
이완규 법제처장, 내란방조 피의자 신분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해 12월 이 처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한 차례 불러 조사했다. 이 처장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대통령 안가(안전가옥)에서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과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과 회동을 가졌다. 이후 휴대전화까지 교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는 이 처장을 내란방조 등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완규 법제처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소요사태 관련 긴급현안질의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2025.01.20 pangbin@newspim.com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도 이 처장에 대한 내란방조·증거인멸 혐의 고발장을 접수하고 피의자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 처장은 당시 안가 회동에 대해 "저녁을 먹는 자리였다"며 "어쨌든 그 자리에 간 게 잘못이다. 죄송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날 이 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헌법재판관 지명을 통한 헌법기관 구성권은 대통령 고유권한으로 대통령 궐위 상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권한대행이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에게 부여된 고유 권한을 행사하려고 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20:2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