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값도 보합
[서울=뉴스핌] 김명은 기자 = 지난주 올랐던 서울 아파트값이 한 주만에 다시 보합으로 전환했다.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한시 배제 정책 등의 영향이다.
1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5월 둘째주(9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보합을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4월 한 달 간 보합을 나타내다 4주 만인 5월 첫째주 0.01% 상승 전환했다. 그러다 한 주 만에 다시 보합을 보인 것이다.
부동산원은 "미국 금리인상과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한시 배제 예고 등으로 매물이 증가하고 관망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기존 상승 지역도 상승폭이 축소되며 서울 전체가 보합으로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 |
한강 이남 11개구 전체로는 아파트값이 0.01% 올랐다. 서초구(0.04%)는 반포동 한강변 (준)신축 위주로, 강남구(0.02%)는 대치·압구정동 재건축 위주로 가격이 상승했다. 강동구(0.01%)는 천호동 구축 위주로 올랐으나 상승폭은 소폭 축소됐다. 송파구(0.00%)는 상승과 하락의 혼조세 보이며 보합을 기록했다. 그 외 강서구·양천구·구로구(0.00%) 등도 대체로 보합세를 유지했다.
한강 이북 14개구의 아파트값은 0.01% 하락했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으로 개발 기대감이 높은 용산구(0.04%)는 상승했으나 중구(-0.02%)는 중소형 위주로, 노원구(-0.02%)·성동구(-0.01%) 등은 대단지 위주로 매물이 적체되고 매수세가 감소하며 강북 전체의 하락세를 가져왔다.
경기도와 인천은 하락세가 뚜렷했다. 경기도는 일부 1기 신도시는 규제완화 기대감으로 상승했으나 화성시(-0.18%), 수원 장안구(-0.16%) 등이 지난해 아파트값 급등의 피로감에 거래심리가 위축돼 하락하며 전체적으로 0.03% 떨어졌다. 인천도 연수구(-0.09%), 서구·중구(-0.07%) 등에서 아파트값이 큰 폭으로 떨어져 전 지역에서 0.04% 하락을 나타냈다.
서울 전세시장은 2주 연속 보합을 기록했다. 신규 입주물량 영향이 있거나 매물이 적체된 단지는 하락했으나 학군과 중저가 수요가 있는 일부 단지는 상승하는 등 혼조세가 지속된 영향이다.
강남은 송파구(0.01%)가 잠실·가락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강남구(0.00%)는 대치동 위주로 관망세를 보였다. 강동구는 보합을 나타냈다. 서초구(-0.01%)는 방배·양재동 위주로 매물이 적체되며 하락 전환했다. 동작구(0.03%)는 사당·노량진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양천구(-0.02%)는 목동 신시가지 위주로 하락하는 등 혼조세를 보이며 강남권 전체가 보합을 유지했다.
강북 14개구는 0.01% 하락했다. 은평구(-0.03%)는 입주물량 영향 등으로 매물 적체가 지속돼 전셋값이 떨어졌다. 광진구(-0.02%)는 광장동 구축 위주로, 마포구(-0.02%)는 성산·창전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고 그 외 지역도 대부분 관망세를 보였다.
dream7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