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우주산업 역사, 누리호 발사 이전과 이후로 구분"
"국내도 뉴 스페이스 전환 기대...KAI·한화, 투자 확대 기대"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힘차게 날아오르며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사업에 참여한 300여개 민간 업체들의 우주 산업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주산업이 정부 주도인 '올드 스페이스'에서 민간 주도인 '뉴 스페이스'로의 전환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 글로벌 우주산업도 뉴 스페이스로 전환되면서 기술력이 크게 향상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21일 오후 5시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된 누리호는 위성모사체가 궤도에 안착하는데는 실패했지만 1단 엔진분리부터 페어링, 2단 엔진 분리, 위성 모사체 분리 및 표 궤도인 700㎞까지 비행에 성공했다. 누리호와 같은 신형 우주 발사체의 성공 확률은 30~40%다.
문재인 대통령은 "아쉽게도 목표에 완벽하게 이르지는 못했지만, 첫 번째 발사로 매우 훌륭한 성과를 거뒀다"며 "발사체를 우주 700㎞ 고도까지 올려보낸 것만으로도 대단한 일이며 우주에 가까이 다가갔다"고 말했다.
[고흥=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21일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 거치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ll)가 힘차게 날아오르고 있다. 누리호는 1.5t급 실용위성을 지구저궤도(600~800km)에 투입하기 위해 만들어진 3단 발사체이며 엔진 설계에서부터 제작, 시험, 발사 운용까지 모두 국내 기술로 완성한 최초의 국산 발사체이다. 2021.10.21 photo@newspim.com |
누리호 사업은 지난 11년간 전체 사업비 1조9572억원이 투입 됐는데 이중 80%인 1조5000억원이 참여 기업에 쓰일 만큼 기업들의 역할이 막대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한화는 누리호 사업에 참여한 300여개의 민간업체 가운데서도 핵심 역할을 수행한 대표 기업으로 꼽힌다.
KAI는 길이 47.2m, 무게 200톤 등 3단형 우주발사체인 누리호 체계 총조립을 맡아 300여개 기업이 제작한 각 부품 조립을 총괄했다. 1단 연료탱크, 산화제탱크도 제작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의 핵심 부품인 액체 로켓 엔진 제작을 담당했다. 누리호를 구성하는 총 3단 로켓중 1단과 2단에 사용되는 75톤급 엔진 5기, 3단에 사용되는 7톤급 엔진 1기 등 총 6기를 공급했다. 75톤급 엔진 생산·조립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세계에서 7번째로 성공했다.
사실 로켓 발사는 실패가 많은 대표적인 분야다. 10여년 전 이곳에서 쏘아 올린 국내 첫 우주 발사체인 나로호도 세 번의 시도 끝에 성공했다.
2009년 8월 1차 발사에서는 이륙 216초 후 한쪽 페어링이 분리되지 않았다. 2010년 6월 2차 발사에서는 이륙 약 137.3초 후 폭발했다. 이후 2013년 1월 30일 3차 발사에서 성공했다. 나로호는 100㎏급 소형 인공위성인 '과학기술위성 2호'를 싣고 우주로 날아올랐다.
당시 나로호의 총 조립은 대한항공이 맡았었다. 하지만 개발 과정이 장기화하면서 경제적 이득을 별로 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서인지 누리호 개발 과정에 불참했다.
이번 누리호는 러시아가 1단 로켓과 관련 장비 설계‧개발을 담당했던 나로호와 달리 순수 국내 기업들의 기술로 제작됐다. 설계부터 제작, 시험, 발사 운용까지 모든 과정을 국내 기술로 진행했다.
스페이스X, 블루오리진, 버진갤럭틱 등 뉴 스페이스 시대에 글로벌 우주산업을 주도하는 대표적인 해외 기업들도 실패를 거듭했다.
스페이스X의 대표인 일론 머스크는 "우리에겐 실패도 하나의 옵션이다. 실패가 없으면 제대로 된 혁신도 없다"는 명언을 남겼다. 스페이스X는 2006년 시작한 팰컨1 로켓 발사에서 세 차례 연속 실패하면서 파산 직전까지 갔지만 4차 발사에서 기적적으로 성공한 바 있다.
이번 누리호 발사를 기점으로 국내 우주산업이 크게 성장할 것이란 기대다. '한국판 스페이스X' 탄생이 머지 않았다는 기대다.
KAI는 누리호 총조립 사업을 계기로 항공우주체계 종합업체로 도약하겠단 계획이다. 올해 2월 '뉴 스페이스 태스크포스(TF)'를 마련해 제조-운영-서비스로 이어지는 우주산업 밸류 체인 구축을 위한 실무 작업에 들어갔다.
또한 ▲1단계로 누리호 체계 총조립 ▲2단계로는 2030년까지 시스템 총괄·제작·개발 ▲3단계로는 2030년부터 하드웨어 플랫폼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전환해 밸류 체인을 완성해 나가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한화그룹은 올해 3월 우주항공산업을 전담하는 조직인 '스페이스 허브'를 출범시키고 관련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해 국내 최초 인공위성 전문기업인 쎄트렉아이를 인수해 위성 개발기술 역량을 확보했다. 쎄트렉아이는 현재 위성본체, 지상시스템, 전자광학 탑재체 등 핵심 구성품의 직접 개발과 제조가 가능한 국내 유일의 업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우주산업 역사는 누리호 이전과 이후를 기준으로 나뉜다"면서 "누리호는 설계부터 제작, 시험, 발사 운용까지 민간 기업들이 국내 독자기술로 만들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첫 발사의 성공률은 높지 않다"며 "원인 분석을 통해 보완하고 준비해 내년 상반기 재도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yuny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