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대거 양산…사회 양극화 심화
정부 역할 한계…기업이 적극 나서줘야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지난해 초 급속도로 확산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를 더욱 심화시켰다. 코로나19로 정규직에서 밀려난 노동자들이 비정규직으로 대거 이동하면서 이들 간 임금 격차는 더욱 벌어졌고 사회 양극화는 더욱 심화됐다.
정성훈 경제부 차장 |
이에 따라 다시금 회자되는 용어가 '긱 경제(Gig Economy)'다. 긱 경제의 사전적 정의는 '기업들이 정규직 보다 필요에 따라 계약직 혹은 임시직으로 사람을 고용하는 경향이 커지는 경제'를 말한다.
1920년대 미국의 재즈 공연장에서 단기적으로 섭외한 연주자를 '긱(Gig)'이라고 부른데서 유래했다. 영어에서 긱(Gig)은 '임시로 하는 일 또는 직장'으로 해석된다. 우리말로는 '기간제', '단기직', '임시직', '프리랜서' 정도로 바꿔 부를 수 있다.
긱 경제를 대표하는 직업으로는 가사노동자, 배달기사, 대리운전 기사 등 플랫폼 노동자를 들 수 있다. 플랫폼 노동자는 카카오, 배달의 민족 등 디지털 플랫폼에 속해 일하는 노동자를 말한다.
이들은 대부분 고용주로부터 일일 정산을 받거나 건당 수수료를 수익으로 가져간다. 국내에서는 코로나19 전과 후로 플랫폼 노동자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국의 플랫폼 노동자는 약 179만명으로 2년 전과 비교해 약 3배 가까이 늘었다.
특히 코로나19로 사람들의 바깥출입이 줄면서 배달 수요가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9년 9조7300억원 수준이던 온라인 음식 배달 거래액은 지난해 17조3800억원 규모로 확대됐다. 1년 새 시장 규모 2배 가까이 커진 것이다.
이에 따른 배달기사들도 하루가 다르게 늘고 있다. 코로나 이전 수십개에 불과했던 배달대행업체는 현개 수백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여기에 속한 배달기사들은 정확히 파악조차 되지 않는다. 단지 정부는 15~25만명 정도로 추산하고 있을 뿐이다.
플랫폼 노동자는 대부분 생계형이다. 주변에 상당수 사례를 살펴봐도 코로나19로 일자리를 잃은 이들 상당수가 플랫폼 노동자로 일하며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 취재 중 만난 한 청년은 한 중소 기계제조회사에 다니다 월급을 몇 달째 밀려 어쩔 수 없이 배달일을 시작했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50대 중년남성은 운영하던 음식가게에 손님이 줄면서 저녁 장사를 마치고 배달일에 뛰어들었다고 사정을 전하기도 했다.
불안정한 노동시장구조도 지금의 긱 경제를 양산하는데 한 몫한다. 한국의 경우 청년들이 희망하는 정규직 일자리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기업들이 채용을 줄이면서 취업문은 더욱 좁아졌다. 일자리가 부족해 취업이 늦어지는 청년들 상당수가 플랫폼 노동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국의 경우 청년을 대표하는 MZ(밀레니얼+Z)세대 사이에 기간제, 임시직을 선호하는 현상과 대조적이다.
정부도 지금의 일자리 상황을 모르는 것이 아니다. 경기 모멘텀 둔화, 코로나19 등 악재가 겹치면서 정부가 나서 해결할 수 없을 정도로 상황이 악화됐기에 더 이상 할 수 있는 일이 없다. 정부 재정을 투입해 단기일자리를 늘리거나 기업체에 채용을 종용하는 일이 전부다.
결국 한국의 불안전한 노동시장 이중구조 해결을 위해서는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늘어나야 한다. 그러기에 기업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얼마 전 취업을 준비하는 취업준비생들에게 희소식이 하나 전해졌다. 국내 재계를 대표하는 그룹인 삼성에서 공채 제도를 유지해 안정적인 청년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신입사원 공채를 폐지하고 수시채용으로 돌린 SK, 현대차, LG그룹과 다른 행보다.
취업준비생들이 기업에 바라는 것 중 하나가 공채제도 부활이라는 점에서 기업과 취준생들 간의 괴리감이 느껴진다. 이번 삼성의 대승적 결정이 재계 전반에 확산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나아가 대기업들과 연을 맺고 있는 중견, 중소기업에도 뿌리를 내렸으면 한다.
j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