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사체 기립과 극저온 산화제 투입한 최종 점검
총 6차례 발사해 신뢰도 향상·계량형 예타 준비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한국형 발사체인 누리호의 10월 발사가 다음달 초 발표되는 종합성능점검 결과에 따라 좌우될 전망이다.
최종 성능 점검 현장에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직접 방문한 이유이기도 하다. 누리호 발사를 신호탄으로 우주산업이 기지개를 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첫 단추 끼우기'에 신중한 모습이다.
임혜숙 과기부 장관은 24일 오후 2시 누리호 개발 현장인 나로우주센터를 방문했다. 앞서 지난 12일 임 장관은 제20회 국가우주위원회에서 한국형 발사체 개발 점검 진행 경과 및 발사 준비상황을 보고받았다.
[서울=뉴스핌]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2일 오후 대전광역시 유성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열린 '제20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21.08.12photo@newspim.com |
그동안에는 발사체를 개발하고 인증모델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으나 현 상황에서는 실제 발사에 사용될 비행기체 조립이 완료된 만큼 발사 준비에 심혈을 기울여야 하는 단계다.
누리호는 발사 전 비행 기체를 활용해 발사운영 절차 전반과 발사체의 기능을 최종 점검하기 위한 발사체 최종 점검(WDR)만 치르면 된다.
WDR은 발사체를 발사대에 기립하고 극저온 환경에서 발사체가 정상 작동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영하 183°C의 산화제를 충전‧배출해 점검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발사체와 발사대 간 시스템 연계 상황을 확인하고 극저온에서의 기체 건전성을 살펴볼 수 있다. 발사체가 성공적인 발사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지를 발사 전에 확인하는 절차로 보면 된다.
이를 위해 지난달부터 전체 기체 조립이 진행됐고 다음달 초까지 최종 성능 점검을 실시한 뒤, 특별한 보완사항이 발견되지 않으면 본격적으로 발사 준비가 진행된다. 과기부는 10월 21일을 발사일로 잠정 결정한 상태다.
2018년 11월 발사한 시험발사체 역시 WDR을 통해 가압계통 이상을 발견해 기술적인 보완 작업을 거쳐 발사에 성공했다.
임 장관은 "오랜 기간의 개발이 마지막 단계에 이르러 실제 발사를 위한 발사체를 보게 되니 감회가 새롭다"며 "지금까지 독자 개발을 위한 어려운 여정을 잘 지나온 것처럼 발사 준비도 빈틈없이 진행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WDR은 발사 전에 비행기체의 기능을 최종 점검하는 중요한 과정이므로 더욱 세심히 살펴주기를 바라며 정부도 발사 준비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광주=뉴스핌] 전경훈 기자 = 1일 오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인증모델(QM) 발사체'가 발사대에서 기립해 있다. 2021.06.01 kh10890@newspim.com |
누리호 발사를 앞두고 9부 능선을 넘는다는 평가도 있으나 발사 성공은 우리나라 우주산업 개발의 신호탄에 불과할 뿐 향후 추진해야 할 과제가 오히려 산적하다는 얘기도 들린다.
10월 발사 이후 5차례의 누리호 발사가 이어져 한국형 발사체의 대외 신뢰도를 쌓아올려야 할 뿐더러 이후 우주산업 확대를 위한 민간 우주기업의 성장 역시 병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또 올해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고배를 마신 누리호 계량형 개발 프로젝트 추진도 우선 과제로 꼽힌다. 누리호 계량형 개발에 도전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은 만큼 심우주 탐험 등에 속도를 낼 수 있는 발사체 개발의 기술 수위를 높여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과기부 한 관계자는 "누리호 계량형과 관련된 과제 역시 이번 발사와 함께 신속히 추진해 발사체의 역량을 키울 계획"이라며 "이번 발사는 단발성의 이벤트가 아닌, 우주 발사체 기술을 점검하고 한국 우주산업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차원이어서 신중하게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