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진 경북도의원 '대구경북 행정통합' 불가론 강력 피력
[안동=뉴스핌] 남효선 기자 = 김성진 경북도의원이 이철우 경북지사와 권영진 대구시장이 주도하는 '대구경북행정통합'을 "되지도 않을 일에 헛발질 하는 꼴이 되고 말 것"이라며 맹비난했다.
16일 경북도의회 본회의장에서 속개된 '제322회 임시회 2차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서다.
![]() |
| 김성진 경북 도의원(안동시)이 16일 경북도의회 본회의장에서 속개된 '제322회 임시회 2차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대구경북행정통합' 불가론을 강하게 피력하고 있다.[사진=경북도의회] 2021.03.16 nulcheon@newspim.com |
김 의원은 이날 5분 발언을 통해 "이철우 지사가 주관하는 '대구경북행정통합 현장간담회'는 도지사라는 지위를 이용, 지사의 의지를 관철하기 위해 도민을 겁박하며 위세를 부리는 행위"라며 작심하듯 비판을 쏟아냈다.
김 의원은 '코로나19 국가적 재난 상황에도 이철우 도지사는 '경상북도는 이대로는 희망이 없다'며 대구와의 통합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고 있다"고 지적하고 "지금까지 대구와 경북은 도로와 지하철, 산업 등 여러 분야에서 협력 사업을 추진해 왔다"면서 "시도나 시군의 입장 차이에서 비롯된 일부 사업 미진 이유를 경북과 대구가 통합되지 않은 탓이라고 하는 것은 제 얼굴에 침 뱉는 일이고, 견강부회이고, 책임회피이며 시도민을 호도하는 후안무치한 태도"라고 일갈했다.
김 의원은 또 대구경북통합을 주도하고 있는 공론화위원회에 대해서도 강하게 비판했다.
김 의원은 "대구경북연구원과 대구경북통합 연구단에 참여한 지역 내 교수와 전문가들 역시 지난 수십년간 경북과 대구의 발전을 위한 자문에 응해 발전 전략을 제시했고 용역과제들을 수행해 왔다는 점에서 '희망이 없다'는 경북의 상황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지적하고 "4차례의 대토론회란 통합 홍보회를 열었으나 참여자는 온라인 포함 652명으로 시도민의 0.01%에 불과해 참으로 기가 막힐 노릇이다"고 공론화위의 토론회 결과를 꼬집었다.
김 의원은 또 "경북도 인구는 2018년말부터 2년 동안 3만8000명이 감소하고 대구시는 2014년부터 6년 동안 7만5000명이 감소했다. 같은 기간 매년 각각 1만명이 넘는 청년들이 경북도와 대구시를 떠났다"고 지적하고 "통합이란 말로 책임을 피할 수 없다"며 이 지사의 반성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현재 추진되고 있는 대구경북행정통합의 법률적 취약성도 강하게 지적했다.
김 의원은 "대구경북행정통합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법을 개정하거나 특별법을 제정해야 하고, 재정손실을 막기 위해서는 재정특례를 적용받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이웃이 장에 간다고 하니까 거름지고 장에 갔다'가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보는 꼴'이 되어버린 경북도와 대구시의 기막힌 정치력에 비추어 볼 때 법률 개정과 재정특례 적용은 기대난망이다"며 '대구경북통합신공항특별법의 국회 통과 무산'을 사례로 제시했다.
nulcheo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