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금일 중국증시 포인트(12.29)] 고량주∙자동차株 강세, 의료보험 의약품 협상결과 발표

기사입력 : 2020년12월29일 13:00

최종수정 : 2020년12월29일 13:00

[편집자] 이 기사는 12월 29일 오전 11시14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5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무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조윤선 기자 =29일 중국 A주 3대 지수 중 상하이종합지수가 0.06% 상승 출발한 반면, 선전성분지수와 창업판 지수는 각각 0.01%, 0.14% 하락 출발했다. 섹터 중에서는 주류와 가스, 해운 업종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주요 증권∙경제전문 매체들은 금일 증시와 관련해 눈여겨 볼 만한 소식으로 △ 산서행화촌분주(山西汾酒·산시펀주 600809),노주노교(瀘州老窖 000568) 등 고량주 대표 종목 사상 최고가 경신 △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주 강세 △ 2020년 의료보험 의약품 협상결과 발표 소식에 주목했다.

28일 중국 증시에서는 대부분의 섹터가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고량주(白酒·바이주) 섹터가 크게 올라 주목을 받았다.

그중 산서행화촌분주와 노주노교가 각각 전 거래일 대비 9.4%, 5.6% 급등한 358.3위안, 224.83위안으로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주귀주(酒鬼酒 000799)도 10% 급등한 140.34위안으로 상한가를 기록했고, 고량주 간판 종목인 귀주모태(貴州茅台 600519)와 오량액(五糧液 000858)도 각각 2.35%, 3.64% 올랐다.

중신(中信)증권은 지난주(12월 21~25일) 고량주 섹터가 등락을 반복하는 변동성 장세를 보이며 지난주 5거래일 동안 0.52% 하락했는데, 이 같은 조정세는 전체적인 상승 추세 속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상적인 것으로 조정세가 투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또, 고량주 업계의 최대 성수기인 춘제(春節·중국의 음력설)가 다가옴에 따라 고량주 업체의 주문량과 상품 배송량이 증가하고 있어, 코로나19 진정세를 유지한다면 춘제 성수기에 힘입어 우수한 실적을 낼 것으로 예상했다.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종목의 강세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28일 중국 자동차 섹터의 선두기업인 상하이자동차(上汽集團 600104)가 상한가를 쳤다. 중국 증권 전문 매체 증권시보(證券時報)에 따르면, 지난 12월 25일 상하이자동차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 등이 공동 설립한 최첨단 스마트 전기차 회사 즈지자동차(智己汽車)가 상하이 푸둥신구(浦東新區)에 법인(설립) 등기를 마쳤다는 소식이 주가 급등으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즈지자동차는 자동차, 인터넷, 정보, 컴퓨터, 전자 분야의 최첨단 기술 서비스를 비롯해 기술 개발과 컨설팅, 양도 및 보급, 친환경 에너지 자동차, 자동차 부품 연구개발과 제조, 판매 등 사업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더불어 중국 1위 자동차 유리생산 기업인 복요유리(福耀玻璃 600660) 등 자동차 부품 기업 주가도 일제히 오름세를 보였는데, 특히 홍콩 증시에 상장한 자동차 부품 및 특수차량 제조업체인 오릉자동차(五菱汽車 00305) 주가가 36.56%나 폭등하며 사상 최고가를 기록해 이목이 쏠렸다.

오릉자동차는 지난 10월 12일부터 현재까지 53거래일 동안 9배 넘게 폭등, 주가가 최저점인 0.305홍콩달러에서 28일 종가 기준 3.1홍콩달러로 치솟았다.

올 9월부터 자동차 부품 수출액이 3개월 연속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 자동차 부품 섹터의 주가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올 11월 자동차 부품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1.9% 급증한 59억 6000만 달러(약 6조 5280억 원)에 달했다. 전월 대비로는 7.8% 증가했다.

오릉자동차의 경우, 부품을 공급하는 우링훙광(五菱宏光) MINI EV 차량이 올 7월 출시된 이후 6개월 만에 판매량이 10만 대를 돌파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주가 급등을 부추겼다.

중국 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乘用車市場信息聯席會)에 따르면, 올 11월 상하이GM우링(上海通用五菱)의 우링훙광 MINI EV 판매량은 3만 3094대로 전기차 판매량 2위인 테슬라 모델3(Model 3)보다 1만 대 이상 많은 판매고를 올렸다. 11월 테슬라 모델3의 판매량은 2만 1604대로 집계됐다.

올 7월 출시된 이후 11월까지 우링훙광 MINI EV의 누적 판매량은 7만 7370대로 업계 전문가들은 출시 반년만에 판매량 10만 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사진=바이두]우링훙광(五菱宏光) MINI EV 차량.

이밖에 얼마전 진행됐던 중국의 의료보험 의약품 협상결과가 발표됐다는 소식이 전해져 제약 종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28일 중국 정부는 '2020년 국가 의료보험 의약품 목록'을 공개하고 내년 3월 1일부터 정식 시행을 예고했다.

이번 의료보험 협상에 참여한 의약품은 162개로 그중 119개가 협상에 성공했다. 여기에는 중국 1등 제약주이자 한국인이 가장 많이 거래한 종목이기도 한 항서의약(恆瑞醫藥·항서제약 600276)의 PD-1 면역항암제도 최종 포함됐다. 항서의약과 더불어 쥔스바이오(君實生物 688180), 바이지선저우(百濟神州 06160.HK)의 PD-1 면역항암제도 의료보험 적용 대상에 포함됐다.

면역항암제란 암 환자의 면역력을 키워 암과 싸우는 힘을 키워주는 치료제다. 방사선, 항암제 등 암세포를 직접적으로 공격하는 치료나 약물 대신 몸 속의 면역체계가 암세포를 공격하는 성질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양한 암에 적용할 수 있다. 또, 부작용이 적고 치료 효과가 뛰어난 특징이 있어 잠재력이 매우 큰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화촹(華創)증권은 "의료보험 협상 결과 공개로 업계의 불확실성이 해소됨에 따라, 제약 종목의 주가 재평가가 기대된다"며 "실적이 좋고 빠른 성장세가 기대되는 종목에 관심이 쏠릴 것"으로 진단했다.

증권시보는 내년과 내후년 20%가 넘는 순이익 신장세가 기대되는 종목으로 항서의약을 비롯한 마이루이의료(邁瑞醫療 300760), 강태바이오(康泰生物 300601), 약명강덕신약개발(藥明康德 603259) 등 49개 종목을 꼽았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돌연 취소된 '2+2 통상협상' 왜?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25일(현지 시각) 미국 현지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한미 2+2 재무·통상 협의'가 돌연 취소된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미국 측이 한국 대표단에 '양해'의 뜻을 여러 차례 표명했다는 것이 우리 정부의 설명이지만, 외교상 결례에도 불구하고 협의를 미뤄야 했던 배경에는 한국 협상단을 길들이겠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영종도=뉴스핌] 김학선 기자 = 미국 측 요청으로 한미 2+2 통상 협의가 연기된 24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출국 직전 취소 소식을 듣고 인천공항 2터미널을 나서고 있다. 2025.07.24 yooksa@newspim.com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날 오전 9시경 이메일로 미국 측으로부터 협의 취소를 통보 받았다. 이날 오전 구 부총리는 협의를 위해 미국으로 출발할 예정이었다. 당시 인천공항 대기실에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기재부는 이 같은 사실을 오전 9시 30분께 언론에 공개했고, 구 부총리는 정부 관계자들과 함께 오전 9시 50분께 공항을 빠져나갔다. 이날 회의가 취소가 된 배경에 대해 기재부 측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 때문이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긴급한 일정'에 대한 설명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 측이 이메일을 통해 여러 차례에 걸쳐 사과 의사를 밝혔지만, 협상 관련 구체적 일정은 확정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의 미국과의 협상은 예정대로 진행된다. 김 장관은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장관 등을, 여 본부장은 제이미스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각각 만난다. 하지만 양국 경제·통상 수장이 구체적 이유 없이 협의를 돌연 취소한 배경으로 한미간 협상이 난항을 겪은 것 아니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지난 20일 미국으로 출국한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오후 귀국할 예정이지만, 고위급 협상에 진전이 없었던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한국 정부는 1000억달러(약137조원) 규모의 미국 현지 투자 계획을 미국 정부에 제안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보다 먼저 관세협상을 타결한 일본 사례를 참고해 짠 전략으로 풀이된다. 일본은 5500억달러(약 757조원) 규모의 투자 펀드를 약속하고 미국과의 상호관세 15%부과에 합의했다. [영종도=뉴스핌] 김학선 기자 = 미국 측 요청으로 한미 2+2 통상 협의가 연기된 24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출국 직전 취소 소식을 듣고 인천공항 2터미널을 나서고 있다. 2025.07.24 yooksa@newspim.com 다만 한국 정부가 제시할 투자 규모에 미국 정부가 만족할지 여부는 미지수다. 댄 스커비노 백악관 부비서실장이 최근 소셜미디어(SNS) 엑스(옛 트위터)에 공개한 일본 대표단과의 협상 사진을 살펴보면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대미 투자액을 상향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투자액이 나온다. 애초 일본이 제시한 투자액 4000억달러는 펜으로 그어져 있고, 그 위에 5000억달러라는 숫자가 써 있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일본의 대미국 투자액은 5500억달러라고 공개했다. 협상액보다 500억 달러가 높아진 셈이다. 촉박한 협상 일정을 무기 삼아 미국이 비관세 영역도 손보려는 의도가 아니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2025년 미국 무역대표부의 비관세 장벽 보고서(NTE)에서도 한국의 방산·통신·원전 분야를 지적했다. 박기훈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방산과 통신은 미국 기업의 진입 장벽이라는 측면에서 구조 개선에 대한 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wideopen@newspim.com 2025-07-24 18:42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