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ICT

속보

더보기

SKT AR 속 창덕궁 가이드된 '해치'...문화재청 구글과 '창덕궁 AR 프로젝트'

기사입력 : 2020년07월27일 12:59

최종수정 : 2020년07월27일 13:14

5G AR로 600년전 조선시대 재현...AR로 왕실생활 등 엿보기
MEC 첫 B2C 적용...창덕궁 5G폰 50여대 무료대여 서비스도

[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 휠체어를 타고 생활하는 A씨. 5세대(5G) 이동통신 폰으로 '창덕ARirang' 휠체어 모드를 켰다. 그러자 증강현실 속 '해치가 나타나 단 한 명을 위한 가이드로 문턱이 없는 곳을 중심으로 길을 안내를 해 준다.

SK텔레콤이 문화재청과 구글코리아와 함께 한국의 대표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창덕궁'을 5G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기술 위에 증강현실(AR) 기술로 구현한 프로젝트다. 27일 SK텔레콤은 '창덕궁 AR 접목 프로젝트'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SK텔레콤 홍보모델들이 창덕궁 인정전 앞에서 창덕ARirang 서비스를 체험하는 모습. [사진=SK텔레콤] 2020.07.27 abc123@newspim.com

창덕궁은 1405년 조선의 3대 임금 태종이 건립한 궁궐로 조선 전기 정궁 경복궁에 이어 제 2의 궁궐 역할을 했다. 1997년에는 조선 5대 궁궐 중 유일하게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정재숙 문화재청장은 "이번 프로젝트로 창덕궁에 오고 싶어도 올 수 없는 노약자나 장애인 분들에게 장벽 없이 자유롭게 문화유산을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면서 "세계인들이 함께 즐길 수 있게 된 문화유산을 계기로 한국의 ICT 기술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28일부터 시작되는 창덕궁 AR 서비스는 창덕궁에 방문하는 관람객이 5G폰을 통해 '창덕ARirang' 앱을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원스토어에서 다운로드받으면 AR 서비스를 무료로 즐길 수 있다. 5G폰이 없는 관람객을 위해선 안내용 디바이스 50대를 무료로 대여해주는 서비스도 연말까지 운영한다.

올해 8월 출시하는 '창덕ARirang 앳홈'의 경우 한국 방문이 어려운 외국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노인 등 취약계층이 언제 어디서나 AR과 가상현실(VR)로 창덕궁을 관람할 수 있는 서비스다.

'창덕ARirang'은 SK텔레콤의 첫 번째 5G MEC 기반 기업 대 고각간 서비스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5G 전송 속도를 높여주는 MEC 기술 적용으로 약 60% 개선된 콘텐츠 다운로드 속도를 기대할 수 있다.

관람객이 5G폰으로 '창덕ARirang'을 통해 창덕궁 금천교를 비추면 전설 속 동물인 '해치'가 나타나 창덕궁의 금천교부터 인정전, 희정당, 후원입구까지 총 12개 코스별로 안내를 해 준다.

[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정재숙 문화재청장이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SK텔레콤] 2020.07.27 abc123@newspim.com

예를 들어 관람객 출입이 제한된 후원 입구에 도착하면 AR 속에 신비로운 문이 생기고, 그 문에 발을 디디면 고즈넉한 후원 주합루 2층으로 순간이동한다.

또 낙선재 안마당에 들어서면 궁중무용인 '춘앵무'를 AR에서 실제처럼 관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AR스튜디오에서 106대의 4K 카메라로 360도, 초당 최대 60프레임으로 촬영을 해 실제처럼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고화질 입체형상을 생성했다.

SK텔레콤은 구글, 영국의 개발 제작사인 넥서스 스튜디오, 한국의 AR 개발사 시어스랩과 협력하여 구글 클라우드 기반 증강현실 플랫폼인 'ARCore'를 통해 실감형 AR 서비스를 개발했다. 특히 최신 AR 기술인 클라우드 앵커(Cloud Anchor), 라이팅 에스티메이션 (Lighting Estimation) 등을 접목했다.

존 리 구글코리아 사장 존 리는 "5G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한국에서 구글의 최첨단 AR 기술들을 첫 선을 보여 기쁘게 생각한다"며 "구글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우리 사회에 선한 영향력과 아름답고 긍정적인 순간들을 선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창덕ARirang' 서비스 지원 단말기는 갤럭시S10 5G, LG V50 5G, 갤럭시 노트10+, 갤럭시S20 시리즈이며 추후 확대할 계획이다.

예희강 그룹장은 "코로나19로 촉발된 언택트 시대에 문화재청, 구글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가치를 SK텔레콤의 5G 기술을 통해 전 세계 전할 수 있어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ICT를 활용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캠페인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abc123@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부지법 난동' 4명 오늘 선고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지난 1월 서울서부지법 난동 사태 당시 언론사 취재진을 폭행하거나, 법원에 난입하는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들에 대한 법원의 선고가 16일 내려진다. 서울서부지법 형사합의11부(재판장 김우현)는 이날 오전 10시 우 모 씨 등 4명의 선고기일을 연다. 지난 1월 19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 청사 유리창과 벽면이 파손되어 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 구속영장이 발부되자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법에 난입해 유리창을 깨고 집기를 훼손하는 등 난동을 부려 경찰이 강제진압에 나섰다. [사진=뉴스핌 DB] 우 씨는 지난 1월18일 서부지법에서 취재 중이던 MBC 취재진에게 가방을 휘둘러 전치 2주의 상해를 입힌 혐의를 받는다. 남 모 씨와 이 모 씨는 시위대를 법원 밖으로 이동시키려던 경찰을 폭행한 혐의(공무집행방해 등)를 받는다. 안 모 씨는 서부지법 경내에 들어간 혐의(건조물침입)다. 지난 30일 결심공판에서 검찰은 우 씨, 남 씨, 이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 안 씨에게 징역 1년을 구형했다. 피고인들은 모두 죄를 반성하며 선처를 호소했다. 앞서 '서부지법 난동' 첫 판결이 나온 지난 14일, 서부지법 형사6단독 김진성 판사는 특수건조물침입 등 혐의를 받는 김 모 씨와 소 모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과 징역 1년을 각각 선고했다. chogiza@newspim.com 2025-05-16 07:26
사진
사직 전공의 복귀 수요조사 마무리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대한수련병원협의회가 정부에 전공의 복귀를 위한 '5월 추가 모집'을 공식 건의할 예정이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공의 수련병원 단체인 대한수련병원협의회는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복귀 희망 여부를 조사한 설문 결과를 마무리했다.  복지부는 지난 7일 이달 중 복귀를 원하는 사진전공의를 대상으로 복귀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공의 수련은 3월과 9월에 각각 상·하반기 일정을 게시한다. 만일 사직전공의가 하반기 모집에 맞춰 복귀하면 다음 해 2월에 실시되는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이에 일부 사직 전공의들이 복귀할 방안을 요구했고, 복지부가 추가 모집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다만 복지부는 복귀 의사가 확인돼야 추가 모집을 검토하겠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정부가 복귀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추가 모집을 실시할 예정이다. 사진은 6일 서울시내 한 대학병원의 의료진 모습. 2025.02.06 yooksa@newspim.com 이에 따라 수련병원협의회는 사직 전공의 복귀 의사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 8일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에 참여한 전공의 중 절반가량은 '조건부 복귀'를 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재논의, 제대 후 복귀 보장 등을 조건으로 내세웠다. 아직까지 실제 복귀 의사를 밝힌 사직 전공의는 미미한 수준이다. 앞서 대한의학회가 시행한 설문 조사에서 복귀 의사를 밝힌 사직 전공의는 300명에 불과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수련 병원에서 근무 중인 전공의는 올해 3월 기준 1672명으로 지난해 전공의 집단 사직 이전 1만3531명 대비 12.4% 수준이다. 전공의 사직 이전의 50%(6765명)까지 돌아오려면 최소 5093명이 돌아와야 한다. 익명을 요청한 한 사직 전공의는 "바뀐 게 없는데 복귀하겠느냐"며 "복귀하지 않겠다는 전공의가 대부분"이라고 상황을 설명했다. 한편, 복지부는 의료 단체들의 설문 조사 결과를 받은 후 추가 모집 결정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다만 복귀 마지노선이 5월인 점을 감안해 조속히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오늘 오후 기준 전달 받은 설문 결과는 없다"며 "설문 조사 결과를 받게 되면 검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5-14 17:1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