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선미 기자 = 미국과 유럽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 수칙을 무시한 시민들로 인해 코로나19(COVID-19) 집단 감염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한 교회의 기도회에서 발생한 집단 감염이 국내 확산의 기점이 된 것으로 보인다는 의혹이 제기됐고, 미국에서는 봄 방학을 맞아 단체 여행을 떠났던 대학생들이 무더기로 감염됐다.
![]() |
영국 런던에 있는 교회에서 신도가 혼자서 기도를 하고 있다. 2020.03.22 [사진=로이터 뉴스핌] |
◆ "2월 말 프랑스 기독교 기도회에서 코로나19 원폭 폭발"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유럽국에서도 공중보건 인프라가 견실한 프랑스에서 코로나19가 급속도로 확산된 기점이 한 개신교 기도회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WP는 2일(현지시간) 프랑스 보건당국 관계자들을 인용, 지난 2월 말 프랑스 동부 뮐루즈에서 열린 기독교 복음주의 교회의 연례 기도회에 2500명 가량이 모인 가운데 집단감염이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프랑스 보건당국 관계자들은 국내 최대 집단감염 사례로 꼽히는 이 기도회가 프랑스 전역뿐 아니라 아프리카 등 해외에까지 코로나19를 확산시킨 기점이 된 것 아니냐고 의심하고 있다고 WP는 전했다.
이 기도회는 지난 2월 17일부터 5일 동안 열렸는데, 당시만 해도 프랑스 내 총 확진자는 12명에 불과했고 뮐루즈를 포함한 알자스 주에서는 확진자가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같은 달 29일 알자스 주에서 기도회 참석자의 가족이, 그리고 이틀 뒤인 3월 2일에는 뮐루즈에서 상당히 떨어진 지역에서 기도회에 참석했던 남성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 기도회를 기점으로 이후 오를레앙과 디종, 브장송, 마송 등 코로나19 청정지역이었던 곳으로 감염이 확산됐다. 특히 스트라스부르의 한 간호사가 기도회에서 감염된 후 동료 간호사 등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해 이 지역에서 약 250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또한 프랑스령 코르시카섬에 사는 은퇴자 3명이 기도회에 참석한 후 돌아와 바이러스를 전파하면서 코르시카섬에서 263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고 이 중 21명이 사망했다.
서아프리카 부르키나파소에서 활동하는 목사 부부도 기도회 참석 후 돌아와 부르키나파소에 코로나19를 확산시키는 계기가 됐다. 부르키나파소에서는 261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고 이 가운데 14명이 목숨을 잃었다.
프랑스 보건당국 관계자 한 명은 "해당 교회의 기도회는 뮐루즈에 투하된 원자폭탄과도 같다"고 말했다.
![]() |
미국 마이애미주 당국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레스토랑과 술집 등에 휴업령을 내리고 자정 통금령을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봄방학을 맞은 대학생들이 해변에 모여 피자를 먹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 봄방학 여행 다녀 온 미국 대학생 집단감염
미국에서는 봄방학을 맞아 멕시코로 단체 여행을 다녀온 대학생 44명이 무더기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지난달 14일 멕시코 카보산루카스를 여행하고 돌아온 텍사스주립대 오스틴 캠퍼스 학생 70여명 중 다수가 코로나19에 감염됐다고 1일 보도했다.
앞서 탬파대와 위스콘신주립대 학생들도 플로리다와 앨라배마 등으로 봄방학 여행을 떠났다가 집단 감염된 바 있다.
미국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권고가 시작되던 시점이 대학생들의 봄방학 시기와 맞물리면서 상당수 젊은이들이 대학 캠퍼스나 해변, 레스토랑, 클럽 등에 모이는 등 위기의식 없는 행동을 지속했다.
이에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코로나19 초기 확진자 사례 분석 결과를 제시하며, 20~44세 젊은층의 중증도 치명률이 독감보다 훨씬 높고 폐를 비롯한 장기의 영구적 손상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gong@newspim.com